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펄사DAS플러긴을 두개 구입했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DAS플러긴 두개, 그리고 4.5업글 믹스앤마스터팩딸려서 왔습니다.
일주일 걸렸습니다. 저번주부터 소닉코어에다 닥달해서 그래도 빨리 받은거 같습니다. 독일로 송금하고...돈보냈다메일보냈는데 안왔다 그러고 오더폼 보내달라그래서 팩스 재차발송하고..확인안되서 다시보내고...쑈를 한거 같습니다...ㅎ...암튼..soniq님 덕분에 그래도 쉽게 구한것 같습니다.

근데 한개 문제가 생겼습니다. DAS플러긴을 사서 쓰려고 다운받으려고 했는데 어디서 다운받는지를 몰겠습니다. 허...다스홈피에 가도 데모버젼밖엔 없는거 같고..소닉코어홈피에 가니까..확장자가OXE인지 그거 밖에 없는거 같고...플랫폼에서 불러와도 불러지진 않고..어째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ㅎ....

암튼...소닉님덕분에 라우팅윈도우에 서서히 적응해가는거 같고...기쁩니다. 이거 새록새록 알아가는 기쁨이 펄사에는 보통이 아닌거 같습니다...ㅎㅎ...

근데 펄사 새버젼은 언제나올런지요? 정말 궁금합니다. 192이상 지원하고 좀더 쓸수 있고 하게되면..아마 음악하는한 펄사를 주욱 쓸거 같습니다...ㅎㅎㅎ....플러긴가격이 정말 껌값입니다...5만원이라니.....

감사합니다. 그리고 조..위에 질문에 가르침을 주신다면......다시금 눈물흘릴듯합니다...T.T

관련자료

johannes님의 댓글

지금 편집하는데 쓰고 있는데...기가 차네요...활용도가 아주...눈물날정도입니다.....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이렇게 좋을수가..ㅎ....

soniq님의 댓글

ㅎㅎㅎ
축하드립니다.

oxe 파일은 설치하기 매우 쉽습니다.
scope4.5 설치 폴더 -> app -> oxe 폴더가 있습니다.
스코프 종료하시고 그 폴더 안에 해당 oxe 파일을 넣어주시고
스코프 켜시면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스코프 부팅될 때 키를 물어보는데 그때 키를 써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설치되면 플러긴들은 모두 Dev확장자를 가지면서  Device폴더 안에 자리잡게 되고,
프리셋은 preset에 모두 정리가 됩니다.

이 디바이스 폴더의 트리 그대로 스코프 상위 탭에 나타나게 되는 것이지요.
임의대로 Dev파일을 다른 트리에 넣어주셔도 됩니다.
이를테면 리벌브는 이펙트->스테레오->리벌브 안에 들어가 있는데
이걸 다른 폴더에 넣어주시거나 새로운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넣어주시면
다른 트리에 들어가거나 스코프 상위 탭에서 새로운 탭이 생겨나게 된답니다.

한가지 유의하실 점은 스코프에서 모듈로 불러낼때는 아무데나 있어도 되지만
믹서모듈 안에 플러긴을 심을 때는 Effect 기본 트리 안에 있어야 됩니다.
왜냐면 믹서의 플러긴 로딩 창에는 Effect 기본 트리만 블러지거든요.
해보시면 금방 알게 되실 겁니다.

oxe 파일은 써디파티나 팩토리 등 공식플러긴은,
아시다시피 소닉코어나 크림웨어 ftp에 다 있구요.
oxe 말고 데모용 파일이나 무료배포용 플러긴은 애초에 Dev로 만들어져 있는데
Dev 파일 자체를 스코프 라우팅 창에 드래그 하시면 자동 로딩이 됩니다.
이것 역시, 따로 디바이스 폴더에 demo 폴더를 만들어 그 안에 넣어주시면
스코프 상위 탭에 demo 트리가 생겨나게 되어 테스트 할 때 편리합니다.
물론 무료배포용이나 베타버젼 플러긴들의 질이 그다지 뛰어난 편은 아니지만,
간혹가다 킹왕짱을 건질 수도 있으니 낚시질 해보시길.. ㅎㅎ

johannes님의 댓글

감사합니다...ㅎㅎㅎ
P100도 구입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근데 소닉님..
이펙터는 어디다 걸어서 쓰시나요?
전 그냥 버스에 걸고 채널에 당겨서 쓰는데
더 좋은 방법이나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갈쳐주심 황공하겠습니다...^^;

soniq님의 댓글

이펙터를 라우팅 환경에서 모듈 형태로 불러서, 어떻게 연결해 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채널이 늘어나고 이펙터가 늘어나면
간결성에서나 정리차원에서 복잡해지게 될겁니다.
그래서 믹서 내부에 심어서 정리하는 것이 간결하고 또한 편리합니다.


첫번째 프로젝트 그림
http://www.audioguy.co.kr/board/data/file/photo/598922126_b332bf0e_project1.jpg

이것은 제가 시퀀싱 하면서 외부 음원들을 믹스하는 셋업입니다.
2448을 하나만 달랑 띄워서 씁니다.
외장 콘트롤러의 연결과 외부 모듈의 미디라우팅을 위한 연결들이
위쪽으로 보이고, 믹서의 콘트롤룸 아웃과 스튜디오 아웃이
모니터링을 위해 컨버터로 빠져나가는 연결도 보입니다.


두번째 인서트 이펙터 그림
http://www.audioguy.co.kr/board/data/file/photo/598922126_a54a9784_insersend.jpg

믹서의 채널스트립을 보면, 채널당 인서트 이펙터를 4개 심을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해당 채널에 사용할 다이나믹/필터 계열의 이펙터를 로딩하면 됩니다.
이미 기본으로 제공되는 다이나믹/필터 이펙터가 탑재되어 있으니,
중요도가 낮은 채널은 기본제공 이펙터로도 충분할 것입니다.

마스터 페이더 위에는 마스터 이펙터를 로딩합니다.
저는 마스터콤프와 옵티마스터를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채널 스트립 위쪽으로 AUX노브들이 보이는데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채널탭을 켜서,
우측의 멀티채널 페이지에 보면
AUX탭이 보이며, 이 AUX탭을 누르면 채널볼륨 페이더에서
채널 AUX페이더로 전환됩니다.
여기서 보는 AUX페이더는 채널 스트립에서 봤던 AUX 노브와 같은 것입니다.
이것은 뒤에 설명할,
세번째 그림에서 심어 놓은 타임계열 이펙터의 채널 SEND 값이 됩니다.
아 참 채널스트립의 AUX 노브 밑에 ON을 체크해 주셔야 하겠죠.


세번째 AUX 이펙터 그림
http://www.audioguy.co.kr/board/data/file/photo/598922126_2dd81557_auxin.jpg


믹서 메인패널에서 리턴 페이지 탭을 누르면 AUX 이펙터의 로딩창이 나오는데
여기에 타임계열 이펙터를 로딩하시면 됩니다.
RMX160 리벌브와 STW 코러스 딜레이가 로딩 되어 있군요.

모듈타입으로, 또는 외장 하드웨어 이펙터를 2448로 연결하실려면
익스터널 체크를 켜두시고 2448모듈의 AUX단자와 리턴(RT)단자로
입출력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네번째 모니터 페이지 그림
http://www.audioguy.co.kr/board/data/file/photo/598922126_624dd6a3_control.jpg

여기에서는 모니터 볼륨과 스튜디오 레코딩에 필요한
토크백/디머 등의 페이지 입니다.
부스 안으로 들어가는 스튜디오 모니터링 레벨과
콘트롤 룸에서 모니터링으로 사용하는 콘트롤 룸 레벨을
여기서 조정합니다.

상위에 미디 채널은,
스코프의 웬만한 모듈들은 미디 인아웃을 가지고 있는데
그 기능은 역시 외장 콘트롤러와의 연동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스코프의 콘트롤러 런 기능이 매우 편리해서
때에 따라 어싸인을 바꾸거나 연동하기에 매우 편리합니다.
2448 믹서 역시 모든 페이더나 노브가 외장 콘트롤러와 연동되며
리콜이 되니, 적극 활용하시구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스코프의 런 기능과 베링거 BCF의 조합과 더불어
미디 콘트롤 명령어만 다룰 줄 아시면 콘트롤 면에서는
세계최고의 편이성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johannes님의 댓글

ㅋㅎㅎㅎ
역쉬나 제가 기대한 몇배이상의 답변을 돌려주시는군요..허.....

뭐..할말이 없습니다...ㅋ...

설사시죠? 혹시 대구내려오실일 없으신가요? 아님 제가 올라가서 정말 식사한끼라도 대접했음 좋겠습니다..허....

펄사메뉴얼과 함께 출력해서 읽어보고 있습니다. 책으로 만들어야 하겠습니다. ㅎㅎㅎ..

펄사메뉴얼 한글판..이라고..ㅎㅎ
전체 85건 / 4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46 명
  • 오늘 방문자 4,139 명
  • 어제 방문자 5,42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10,327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301,176 개
  • 전체 댓글수 193,405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