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레이턴시를 낮게 설정했을때CPU점유가 낮아도 디지털노이즈가 생기는 현상...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제가 요번에 Motu 2408 mk3를 구입해서 설치했는데요

96k에서 128 버퍼로 1트랙만 재생해도 틱틱 거리는 디지털노이즈가 유입됩니다..CPU 점유는 20%도 안되는데요....

어거 혹시 클락문제 일까요? 오디오카드 문제 일까요 아나면 컴퓨터 문제일까요?

레이턴시는 인 아웃 둘다 1.5ms 정도 나오고요

워드클락은 빅벤을 인터널로 쓰고 있습니다.

컴퓨터는 AMD deneb 945에 msi770보드 쓰고 있고요.

시퀀서는 누엔도 4 입니다.

256 버퍼에서는 플러그인 걸어서 CPU점유율 70~80%까지 높여도 노이즈가 안생기는데요.. 레이턴시가 인 아웃 둘다 2.5ms 정도 나옵니다. 뭐 녹음하는데에 큰 지장은 없지만서도 이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레이턴시를 낮게 잡으면 원래 노이즈가 생기나요?

아 그리고 초보적인 질문 하나만 더 드리겟습니다. 48k설정에서 256버퍼로 잡았을때는 레이턴시가 6ms 정도로 나왔는데 96k 설정에서 똑같이 256버퍼로 잡았을때는 레이턴시가 2.5ms정도로 반토막이 나네요. adat s/mux 12채널로요.. 채널수가 반으로 줄어도 왔다갔다 하는 데이터는 같으니깐 레이턴시도 같아야 하는거 아닐까요? 이부분이 너무 궁금합니다.

다들 감기조심하셔요~

회원서명

SIGNATURE

안녕하세요~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켄신님의 댓글

제 생각에 48k 의 256 버퍼(샘플), 96k 256버퍼 (샘플) 의 이유라서 96k 가 레이턴시가 더 짧아지는 것 같습니다.

즉..48k 는 소리가 1초에 48000 개로 쪼개진 것중에 256번째 후에 나오는 것이고, 96k 는 1초를 96000 로 쪼갠것에서
256 번째 후에 나오는 것이니 96k 쪽의 256 번째의 샘플길이가 시간이 더 짧은 거 아닐까요...

음악은 나의 삶님의 댓글의 댓글

48과 96중 어느쪽이 컴에 더 부하를 줄까요? 당연히 96쪽입니다. 이것은 샘플레이트로 레이턴시와는 상관없습니다.
레이턴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것은 오디오시그널을 등분해 디지털신호로 바꾸는 A/D 컨버터와 이 컨버터의 버퍼사이즈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음악은 나의 삶님의 댓글

디지털잡음현상 -> A/D 컨버팅 과정중 발생 -> 극저값의 샘플버퍼는 오디오시그널을 많이 짤라 .CPU의 부하를 높임 -> 절단된 샘플들을 컨버팅하는 과정중 노이즈 발생 확률이 높음 ^^

통상은 이런류로 디지털노이즈가 많이 생깁니다.
다음은 A/D 컨버터와 COM의 호환성 즉, 안정성이 영향을 미칩니다.
이런 레이턴시에 관련된 버퍼를 늘려서 레이턴시가 늘어 나더라도 감수하고 작업을 하지만 가능하면 브리지 믹서를 하나 장만하셔서 오디오시그널을 믹서에서 출력에 모니터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식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하시면 제로레이턴시가 물리적으로 가능해 컴에 의존하는 방식을 많이 탈피하니까 정신건강에도 좋으실겁니다. ^^

upwego님의 댓글

예전에 제가 질문하고 답변받은적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같은 버퍼사이즈에서 샘플레이트를 올릴수록 레이턴시는 짧아집니다.
그 이유는 샘플레이트가 커질수록 버퍼가 빨리 차기때문입니다.
검색한번 해보시길~

유니007님의 댓글

저도 끼어 들어 봅니다.
제가 생각 하는 것은,,
켄신님의 말씀 처럼 동일한 버퍼사이즈이면 샘플레이트가 높을 수록 버퍼가 빨리차고 빨리 비워 집니다.
제가 생각 하는 버퍼의 목적은 지터 버퍼입니다.
지터는 CPU가 멀티태스킹으로 여러 작업을 하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경로(USB를 경유한)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통 정체로 인해 발생하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버퍼링하기 위하기 위한 것이 지터버퍼 입니다.
샘플레이트가 높을 수록 CPU의 작업량은 많아 지는데 반해 동일한 사이즈의 버퍼는 샘플레이트가 높아진 만큼 빨리 채워지고 빨리 비워지기 때문에 지터버퍼가 오버플로우가 생기거나 언더플로우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 집니다. 노이즈는 이 때 발생 하는 것이고요..
그러므로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을 만큼 지터 버퍼 사이즈를 늘려 주면 노이즈는 발생 하지 않을 것입니다. 대신 버퍼를 경유하는데 시간이 더 걸리게 될 것이므로 레이턴시는 증가 하게 됩니다.
이상 저의 생각 입니다.

유니007님의 댓글

이 포스팅 굉장히 오래된 포스팅이군요.
사이트 개편할 때 오래된 포스팅도 리플이 달리면 다시 이슈로 올라오는 선진적인 방식으로 바뀌었네요..
전체 9,431건 / 40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21(1) 명
  • 오늘 방문자 1,994 명
  • 어제 방문자 5,679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7,295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669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