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콘솔의 헤드룸에 대해..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오디오 가이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오디오 엔지니어입니다.

콘솔을 공부하다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올립니다.

다이나믹레인지는 S/N비와 헤드룸의 합이라고 알고 있는데,,,

헤드룸의 정의는 알 겠는데,,, 콘솔의 스펙을 보니까 헤드룸이 수치로

나와 있지를 안더라구요. 그러면 헤드룸은 스펙상의 측정치가 아니라

엔지니어 마다 공칭레벨, 즉 평균레벨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그냥 임의로 주어지게 되는 건가요?

어떤 콘솔의 경우는 단지 최고의 헤드룸이라고만 표시 되어 있어

잘 모르겠는데,, 경험 있으신 분들의 고견 바랍니다.

관련자료

장인석님의 댓글

  우철씨가 규정한 헤드름의 정의는 정확히 맞습니다. 헤드룸의 의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분류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아날로그 녹음에서는 작은 레벨 신호를 얼마나 크게 하는가 이것이 중요했습니다. 왜냐하면 장비 자체 노이즈가 음질을 혼탁하게 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작은 레벨을 크게 하려면 동시에 큰 레벨을 피크를 향하게 되고 이로인해 왜곡이 발생하게 되지요.  하지만 이러한 왜곡 현상은 장비의 압축현상으로 어느 정도 커버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인 경우는 아날로그와는 달리 큰 레벨이 문제가 됩니다.그 이유는 디지털에서는  자체 노이즈가 매우 작은 반면. 큰 레벨에 대한 압축 현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헤드룸에 신경 쓰지말고 청감상 왜곡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빵빵하게 조정하세요..^^
 

운영자님의 댓글

  박우철님의 추가질문입니다.

****************************************************************************

장인석 님의 명쾌한 해설 감사합니다. 또 추가로 디지털 콘솔에서의

대처법까지 설명해 주셔서 고맙구요.

좀더 궁금한 것은 헤드룸이 "헤드룸은 피크레벨 - 라인레벨(+4dbm)"이라고

하셨는데, 피크레벨이라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실제 스펙상 볼 때 어떤 수치를

참고해야 할 지요?  마이크의 최대 입력레벨인지 아니면 콘솔의 최대출력

레벨인지 아니면 스펙상으로는 알 수 없는 건지?

명절 잘 보내시구요....

장호준님의 댓글

  우철님께서 너무 깊숙히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것 같습니다.  그다지 그럴 필요는 없는데, 기본 이론적인 것은 일단 외우는데에서 부터 시작하시면 그나마 진도가 나갈 수 있습니다. 책을 펴놓고 전부다 이해해버릴려고 하면 너무 광범위합니다. 

피크레벨이라고 함은 당연히 콘솔의 출력레벨을 말합니다.  마이크의 최대입력은 주로 그냥 dB로 표시되는 게인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마이크의 최대입력레벨 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처음 들어보는 것 같아서.. 나름대로 이해하기는 입력 게인의 최대치를 의미하는 것 같은데..  궁금하시면 콘솔의 스펙을 자세히 보시면 어느정도 답은 나옵니다. <a href=http://midasconsoles.com/h3000-specs.html target=_blank>http://midasconsoles.com/h3000-specs.html</a>  에서 헤리테지 3000의 스펙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길...

장인석님의 댓글

  다음의 글은 sound reinforcement handbook 165쪽에 나온 콘솔 헤드룸에 관한 정의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참조하세요...^^

콘솔 헤드룸이란 회로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레벨(maximum level)과 공칭 레벨(nominal level)의 차이를 의미한다. 콘솔의 헤드룸은 회로의 각 지점마다 변한다. 즉 입력 회로의 헤드룸은 통상 25dB이고, 출력 회로는 20dB 정도이다. 예를 들어, 공칭 출력이 +4dBm일 때, 최대 출력이 +24dBm이면 이 콘솔의 헤드룸을 20dB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더욱 작을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콘솔의 믹싱 버스 헤드룸이 20dB 이하일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입력과 출력 헤드룸이 20dB일지라도 콘솔은 버스 헤드룸으로 인해 전체 헤드룸은 감소할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콘솔의 스펙을 통해 처리 가능한 헤드룸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물론 모든 콘솔의 헤드룸이 적어도 20dB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사용하는 환경과 원하는 레벨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보이스와 백그라운드 음악을 재생하는 단순한 믹서의 헤드룸은 10에서 15dB보다 적다. 그러나 고성능 SR과 녹음에서는 적어도 20dB의 헤드룸을 요구한다. 이것은 공칭 레벨보다 20dB 큰 피크 레벨에 일그러짐이 없음을 뜻한다.

PS: 운영자가 언급한 "헤드룸 = 피크 레벨 - 라인레벨"을 다음과 같이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헤드룸 = 최대 허용 레벨 -공칭 레벨. 즉 피크 레벨과 공칭 레벨 모두 라인 레벨이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할 때 아마도 피크 레벨을 최대 허용 레벨이 가깝다고 볼 수 있겠지만 , 하지만 이것 역시 문제는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크 레벨에서 중요한 것은 레벨 그 자체보다도 레벨의 지속시간(duration)이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예로, 파워 앰프의 스펙에는 일반 오디오 장비와는 달리 최대 허용 레벨과 더불어 피크 레벨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관해서는 다음에 논의하기로 하죠...글이 길면 지루하니까...^^
전체 9,435건 / 45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10 명
  • 오늘 방문자 1,835 명
  • 어제 방문자 5,516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83,643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60 명
  • 전체 게시물 325,055 개
  • 전체 댓글수 193,42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