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접지 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저희 녹음실...패치보드 및 등등의 기기에 전기가 흐르고 있습니다..
무심코 기기를 만지면 파바박 하고 전기가 터지고...
평소 녹음할때는 아무런 문제도 없다가..
컨트롤 룸에서 라인 인풋을 받아서...패치보드를 통하여 라이브룸의 기타 앰프로 인풋이 들어갈때..
꼭 전기 노이즈가 생깁니다...
제가 볼땐 전기 접지 문제 같은데...
이것들을 없애는 방법을 좀 알려주세요..-ㅁ-;;

회원서명

SIGNATURE

서명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QJ님의 댓글

저도 접지때문에 꽤나 많은 고생을 하고있는 사람입니다..
먼저 콘센트자체에서 접지가 되는지 확인부터 해보시구요,
멀티탭도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콘센트에 접지가 되는지 안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매우 쉽습니다.
멀티탭도 동일하구요,
플러그를 꽂는 콧구멍(?)아래위로 얍삽하게 튀어나온 금속이 있는지 보시구요,
만약 있다면 접지가 되어있는 것 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해서도 접지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부실공사의 산물이죠 OTL(제 작업실이 그렇습니다...)
접지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싶으시면
일단 콘센트에 있는 모든 나사를 풀어재끼시고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아까 제가 말씀드린 얍삽하게 튀어나온 금속에 구리선같은것이 연결되어 있다면
접지가 되어야되구요 없다면 부실공사 OTL..
만약에 접지가 안된다고 말씀하시면
비록 아직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혼자서 접지공사?했던 사진자료를 링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성공하고 올릴려구요 T^T)

뭐 개인적인 얘기지만 접지도 안되는데 이 건물자체에 25k 라는 방대한 규모의 전기가 들어오기에 지금껏 악기들이 몇개나 나간건지 ㅠ.ㅠ
8시 이후에는 그 25k를 모두 제가 사용하기에........
어제는 녹음하러 온 친구 기타 꾹꾹이 아답타가 타버렸죠^.^;제대로 녹았던데요....

JesusReigns님의 댓글

접지때문에 사고난 경우가 참 많죠.. 죽는 사람도 많습니다.
얼마전엔.. 미국 어느 주였는지 기억은 안나는데, 침례를 주던 젊은 목사가 마이크를 잡고
쇼크 받아서 심장 마비로 죽었죠. 아무리 접지를 제대로 했다 하더라도 절대로 물속에서
마이크를 잡아선 안되겠습니다. 무선 마이크면 몰라도... 그리고 일반적으로 쇠붙이 두개를
양 손에 잡지 않는게 좋습니다. 예전에 송골매 리드싱어.. 이름이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아무튼 그 아저씨도 기타줄과 마이크를 동시에 잡았다가 죽을뻔했죠...

안전제일!

칼잡이님의 댓글

배철수 아자씨였죠..ㅎㅎ

접지가 되어 있더라도 전기 쇼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송골매의 경우가 그런 경우가 아닌가 싶은데요. 두 계통의 전원을 쓸 경우 모두 접지가 되어 있더라도 그라운드 사이에서는 전위차가 발생합니다. 전위차가 발생하는 순간 중간 통로로 주루룩! 전기가 쏟아지져.

마이크와 기타앰프의 전원계통이 달랐던게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그래서 대부분 한계통에서 전기를 분배해서 쓴다고 하더군요.

nocturne님의 댓글

분전반에 접지단자이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보통 건물을 신축할때 건물에 접지봉을 설치하고 분전반마다 접지단을 만들어 놓습니다.
문제는 전기공사할때 접지를 연결안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이경우엔 벽콘센트에 접지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QJ님 아직 접지문제가 해결이 안되셨나 보군요..한번 찾아뵙는다고 생각만 하고 있네요.....
이놈의 귀챠니즘땜시...ㅠ.ㅠ

지휘봉님의 댓글

가장 확실한 접지 방법입니다.
돈 한푼안들이고,,간편하면서 퍼펙트입니다.

링크 첨부합니다.
http://blog.naver.com/cordba/39401620

저같은 경우는 그냥 T.V 뒷면 케이블단자에 철사로 연결시켜났습니다.
T.V도 잘나오고,,컴에 연결한 아포지듀엣 웅~~하는 전기노이즈도 없어졌습니다

宋 敏 晙님의 댓글의 댓글

흠...... TV 안테나 단자에 접지하는 것인데....

어차피 안테나쪽으로 흐르게 만든것이라 상관 없습니다만.....

문제는 안테나쪽에서도 흐를 곳이 없는 경우라면! 도루아미타불이겠죠....

가객님의 댓글

접지를 하실때는 위에도 언급이 되었지만 일단 사용하는 장소로 들어오는 메인 분전함에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방법은
1. 디지털/아날로그 멀티테스터를 준비합니다.(교류 전압을 잴수 있는 것이면 어느것이라도 상관없습니다.)
2. 전압계를 교류 측정으로 합니다. (이때 전압은 측정 최대치로 설정하세요. 전압을 모를경우에 테스터가 죽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3. 먼저 교류전원의 전압을 측정합니다.(분전반의 메인 입력단이나 메인 출련단에서는 작업하지마세요. 측정하다 떼는 순간에 쇼트가 날수 있습니다. 특히 메인 브레이커의 출력단에서는- 친구녀석은 일하다가 병원 연구동 전기 홀라당 죽여먹은적도 있음)-측정하실때는 2차측 출력단에서 측정 하세요.
4. 2차측 전원의 한곳과 접지단(녹색)과 측정을 합니다. 그러면 가정용 전원의 경우 한번은 220V정도 한번은 0V가 뜨게 됩니다. 이때 0V가 안뜬다면 건물 전체가 접지가 되어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5. 이제는 사용중에 있는 각종 멀티 콘센트의 접지 상황을 점검하시면 됩니다.
6. 멀티 콘센트난 각종 콘센트들 기기들의 접지를 확인하실때는 전원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하시면 안전합니다.- 이때는 통전시헙을 하시면 편합니다. 즉 저항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서로 연결이 되어있으면 바늘이 0 ohm근처를 가리킵니다. 콘센트가 2개의 단자만 가지고 있는 경우는 기기의 전원을 구성하면서 가상접지 방식의 전원을 사용할 경우입니다. 이때는  기기의 샤시에 직접 선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접지에서 중요한 것은 접지의 최종적인 출구는 하나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전체 9,431건 / 45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13 명
  • 오늘 방문자 3,742 명
  • 어제 방문자 6,322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46,601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6 명
  • 전체 게시물 286,060 개
  • 전체 댓글수 193,396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