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모니터헤드폰에 관한 진실

페이지 정보

본문

몇년전에 모니터헤드폰으로 거금을 들여 구입한 akg 것을 잘 사용하다가 선이 끊어지는 사고를 당해서 눈물겹게 폐기처분하였는데
공연장 음향실의 믹서에서 출력을 뽑아 기념 cd로 만들어줄려고 하다보니 개인적으로 모니터 할수 있는 헤드폰이 필요해서 급하게 구하는데, 어찌 남의 마음속을 들여다 보았는지 샵에서 jts 것을 권하길래 구입하였습니다. 침이 마르도록 칭찬하길래 기대를 갖고 집에서 들어보니 영 이것은 아니올씨다...였죠
모니터의 기준이 착색없는 음재생이라고는 하지만 이것은 싸구려티가 팍팍 나는 느낌이 들어서 집에서 아이들이 pc게임할때 머리에 쓰고 잘 사용하고 자기들끼리 방에서 저격수 마냥 게임할때 머리에 쓰고 놀더군요.
역시 샵에서 권할 때는 색깔 있는 안경을 쓰고 봐야되는디.....
괜히 헛돈 날렸는가 싶어 좀 괜찮은 거 없나 하고 이리저리 잡지며 인터넷을 뒤적거리다가 생각을 접고 지난지 한참 되었는데
오늘 무심코 사운드갤러리에 이장호님이 남겨두신 실내악을 조그마한 이어폰으로 듣게되었습니다.
그런데 그 이어폰이라는 것이 아이가 누리안 전자사전을 사면 딸려오는 이어폰이 다른 친구들이 사용하는 이어폰보다 음이 못하다고 하길래(mp3재생이 되는 전자사전이죠) 할인점에서 1만8천원 주고 구한 필립스 거라는 겁니다(그나마 원산지는 중국)
그런데 윤기가 좌르르르 흐르는 음색과 박력있는 저음이 마음에 들어 비교하고 싶은 생각에 쳐박아 두었던 jts 모니터헤드폰을 꺼내어 비교해서 들어보니 너무 황당하군요.
가격이 엄청나게 차이나는 헤드폰이 그 음색과 윤기를 못 따라 가는 겁니다.
처음에 나오는 저현악기의 음에서 현격한 질감차이가 있고 총주부분에서도 차이가 많이 나는군요.
진동판의 구경에서도 차이가 많이 나는데 어째 저역에서도 이어폰을 못 따라가는지...
여기까지 생각하다보니 샵 주인이 하던 말이 생각나는군요. 이전에 어떤 헤드폰을 사용하였는지는 몰라도, 만약 Sony 같은 것 생각한다면 그것은 잘못 오해하고 있는 거다..한마디로 속지말자 화장빨 다시 보자 조명빨.... 이런 거라는 겁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기준으로 녹음모니터시에 헤드폰을 사용하십니까?
옛날 일제 워크맨 녹음기가 처음 나왔을 때가 기억납니다.
딸려 온 헤드폰과 함께 워크맨으로 테잎을 들으며 야... 이런 음도 있구나 하고 느끼며 제가 사용하던 삼성 마이마이와 비교할 때 느끼던 현격한 차이..
그리고 더더욱 놀라운 것은 집에서 사용하던 , 그당시만 해도 국산오디오의 지존이던 인켈 AK-650 앰프와 인켈 Pro 9A 스피커를 통해서 나오는 동일한 테잎의 음이 황당하리만치 무미건조한 것이었습니다.

생각이 여기까지 미치다보니 도대체 사운드갤러리에 남겨둔 녹음들의 진정한 모습은 어떤것인가 싶어 황당하군요.
아마 저 같은 사람들이 있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몇해전에 35만원 정도하는 가격의  이어폰이  수입되어 팔린적이 있는데 그 때 하나 사둘것을 하는 후회가 됩니다.

진정한 모니터헤드폰의 기준은 무엇이며 대체로 어떤 회사의 어떤 모델을 사용하시는지 궁금하군요.

관련자료

박카스두병님의 댓글

  이어폰... 저는 거의 사용을 안해서.,... 슈어에서 나온  그거 좋다는 사람들은 있는데..ㅋㅋ
헤드폰은 젠하이져..hd414,hd250, 베어 dt550 인가 하는모델,, 소니 7509  사용하고 있는데... 너무 과장되지않은 소리가 나오는거 쓰구요... 차음성도 생각 합니다..(라이브에서 사용해서요..)

김정섭님의 댓글

  쓰신 글을 읽다보니 갑자기....
과연 원래의 소리란 무엇일까,
우리가 듣고 있는 소리는 과연 진짜 소리일까?
어떤것이 과장되지 않은 소리일까,
기기들은 문제가 없는데 귀가 문제인 것은 아닐까?
하는 어이없는 생각이 드는군요;;;
제가 제 귀를 믿지 못하니 드는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기기마다 저마다 서로 다른 소리를 내어주니 아무것도 믿지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어버립니다;;;;;;

누구게님의 댓글

  저는 김정섭 님처럼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원래 소리"라고 할 수 있는 절대적 데이타는 엄연히 존재하고 그것이 물리적으로 재생될 때의 "이상적 상태"라고 할 수 있는 절대적 기준도 엄연히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 생각이 절대적으로 맞다는 논리적 이성의 절대성도 믿습니다. ^^ 물론 그 기준과 완전히 일치하는 재생이 불가능하다는 것도 논리적인 사실일 것입니다만, 얼마나 근접하느냐 하는 것이 기술적 접근의 목적이 아닐까 합니다.

저는 음악 쪽 작업자로서는 순수한 아마추어이지만 영상 쪽 음향은 업무 상 다루어야 하는 입장에 있습니다. 제가 업무에 쓰는 헤드폰은 젠하이저 HD280 프로라는 염가 제품인데요, 동시 녹음 현장에 적합한 제품이 아닐까 합니다. 차폐성이 높고 연결선이 코일이구요. 가격이 싸기도 하지만 (85 불에 샀음) 소리는 전혀 음악적이라는 생각은 안 드는 그런 소리입니다. 그래도 나름 대로 평탄한 편이라는 생각도 들긴 합니다. 희한하죠. 제가 일할 때 쓰는 또다른 제품은 Koss의 "플러그"라는 싸구려 이어폰입니다. 이 넘은 차폐형에 가까운(?) 이어폰인데요, 이걸 쓰는 가장 큰 이유 두 가지 중에 하나는 능률이 높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평탄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능률이 높은 게 편리한 이유는 별로 쾌적한 청음 상황이 아닌 데서 별로 출력이 크지 않은 데다가 들쭉날쭉한 기기들에 모두 꽂아서 적어도 소리를 확인은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평탄하지 않다"는 것은 특히 고음 쪽이 그런데요, 싸구려 이어폰들의 특징 중의 하나로 고음 성분이 너무 많은 편입니다. 하지만 그래서 잡음 문제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물론 쓸데없는 수준으로 들리기는 하지만, 문제가 어느 정도인 지를 쉽게 가늠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젠하이저 HD280 프로로는 이런 문제가 잘 들리지 않습니다. 이 이어폰은 귀에 꽉 밀어 넣으면 저음도 꽤 많이 들립니다만 선명하지는 않습니다. 단, 소니의 훨씬 가격이 비싼 이어폰들보다도 훨씬 민감해서 소리의 표정은 정말 많이 들립니다. 가격은 단 십 몇 불이었습니다. 초기 버전에 딸려오던 작은 주머니에 1/4 인치 어댑터와 함께 넣어서 현장에서 항상 주머니에 넣고 다닙니다.

가정용이든 업무용이든, 고급 음향 재생장치가 지향하는 일반적인 속성은 사실 우주의 법칙인 "물리법칙"을 얼마나 무력화(?)시키느냐가 아닐까 합니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우주 일반의 물리법칙이겠죠. 재생을 하려면 거기 저항하는 반작용이 따르게 마련이고, 그 반작용을 밟고(?) "작용"을 이상적인 상태에 근접시키려고 하면 할수록 점점 더 반작용은 커지기 때문에 그 이상적인 상태에 근접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더 어려워지는 게 아닐까 합니다. 목표에서 멀 때 1 % 더 근접하는 것보다 목표에서 가까울 때 1 % 더 근접하는 것이 월등히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장비의 "가격"에도 어느 정도 반영이 되어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강인성님의 댓글

  "목표에서 가까울 때 1 % 더 근접하는 것이 월등히 어렵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장비의 "가격"에도 어느 정도 반영이 되어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많은 공감을 갖게하는 대목이군요. *^-^*

전체 9,430건 / 14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295 명
  • 오늘 방문자 4,215 명
  • 어제 방문자 4,957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661,334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33 명
  • 전체 게시물 247,784 개
  • 전체 댓글수 193,360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