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펄사2와 아포지로제타800의 연결

페이지 정보

본문

아포지를 파이어와이어로만쓰다가
펄사2를 함께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연결하려고 하는데..

광케이블로 연결하면 되는지요? 4개 모두 연결해야하는건가요?

그리고 연결한다면 클럭때문에 지터가 발생하지 않을지 걱정입니다.

외장워드클럭없이 클럭을 맞추는 방법이 어떤게 있나요?

도와주시길 부탁드립니다.

PS: 그리고 SMUX가 정확히 무슨뜻인가요?

관련자료

HooN님의 댓글

광케이블로 연결하시면 됩니다.
아포지제품이 클럭이 좋으니 로제타를 클럭마스터로 하시면 될거 같구요
SMUX 기능은 ADAT 이 48Khz까지지만 이를 96에서 192까지 사용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건 연결하는 기기들이 서로 지원해야 하는거고
ADAT이 48에서 8채널이면 올라갈때마다 4채널 2채널로 줄어들게 됩니다.

soniq님의 댓글

흑 한발 늦었네요~ㅎㅎ

로제타 800 뒤를 보시면 인/아웃별로 두개씩 Adat 토스링크 단자가 있습니다.

먼저 smux를 설명 드리면,

adat 포맷은 48k가 한계이기 때문에
두채널을 묶어서 하나의 96k 채널을 만드는 겁니다.
이걸 두개 묶으면 smux2  네개 묶어서 192k를 만드는 smux4가 됩니다.
펄사 스코프 역시 샘플레이트 창에 smux를 지원하니 smux 모드로 사용하면
체크를 해 두시면 됩니다.

지금 800의 8채널 48k를 쓰실거라면 800의 인아웃에 하나씩만 연결 하시면 되고,
96k를 쓰실 거라면 인아웃 별로 두개씩 연결하시고 세팅에 smux를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192k는 800은 지원하지만 스코프가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스코프 카드와 스코프 컨버터끼리의 연결로,
z-link라 하여 채널의 감소 없이 smux를 구현하는 연결이 있기도 합니다.
이것은 adat가 아닌 파이어와이어 연결입니다.

싱크와 관련해서,

마스터 슬레이브만 잘 잡히면 별도의 워드클락 제네레이터가 없어도 클릭음이나 지터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미 adat 프로토콜에는 싱크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다만 더욱 훌륭한 환경을 위해서라면,
펄사 스코프의 싱크보드를 구매하여 장착하시고,
별도의 제네레이터를 사용하여 쓰시면 됩니다.


덧붙여서..

스코프 자체의 시방서에는 컨버터쪽을 마스터로, 스코프 쪽을 스레이브로 하면
아주 약간 음질이 좋아진다고 하네요.
스코프를 여러 컨버터와 붙여 본 결과 모두 이상없이 작동했고,
스코프 전용 컨버터 역시 다른 카드들과 잘 붙었던 경험이 있군요.
근데 한가지..
스코프는 윈도우 xp sp2, 인텔칩셋의 메인보드를 최적환경으로 삼습니다.

johannes님의 댓글

이제야 봤습니다...감사합니다...이은혜를 어찌 갚아드려야할지요...^^...
잘 사용하고..정말로 언젠가 뵈면..식사한끼라도 대접할날이 있었음 좋겠습니다. 혹시 대구로 일있어 내려오실때 연락주시면..한끼..했음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johannes님의 댓글

아..그리고 어제 드디어 연결하여 로제타와 연동해서 써봤습니다....8채널로 녹음된 클래식곡을 편집하려고 해보았는데요..이거야..기본적인 셋팅조차 헷갈립니다. 라우팅을 어떻게 해줘야 하는지 혹시 가르쳐주실수 있으신지요....^^;

8채널녹음된것을 Pyramix, 누엔도에서 편집하고자 합니다.
전체 9,431건 / 213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86 명
  • 오늘 방문자 2,945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6,234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857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