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레코딩

믹스후 마스터링시...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저는 작곡과 믹싱을 주로하고 있는데요
마스터링을 제대로 해보지 않았는데 마스터링시 궁금증이 생겨서요
믹스때 컴프와 이큐믹싱후 리버브까지 걸고 마무리를 하는데요
마스터링을 하게되면 이큐, 컴프 다시 건다고 들었습니다..
믹스에서 살짝 과하다 싶을 정도의 리법이 걸렸을때...
마스터링시 컴프나 이큐가 다시 걸리게 되면
마스터링 할때 리법을 과하게 건 부분이 문제가 될수있나요?

관련자료

soundmaker님의 댓글

마스터링은 실질적으로 송간 레벨안정및 전체적인 톤을 맞추는데 주력하는 작업입니다.
헌데 요즘 보면 리버브를 다시 넣는 경우도 있고 많은 부분이 있죠...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충분한 믹싱의 결과물이 아닐때 이루어 집니다.
프로듀서의 의도에 따라서 작업이라는 것이 이루어 지는 것이 맞는 것이지만....

제대로된 믹스에 사실 마스터링이 손을 크게 볼 것이 없죠~ ^^

칼잡이님의 댓글

녹음이 잘못된건 믹스에서 항상 문제가 되구요. 믹스에서 잘못된건 마스터링에서 항상 문제가 됩니다.^^
그냥 당연히 인풋이 안좋은데 프로세싱에서 문제가 없을수는 없겠죠

beetlez님의 댓글의 댓글

답변감사합니다^^
마스터링의 결과물에서 기대하는 것은
믹스때 100의 결과물의 기대 했다면 믹스엔지니어로서
기대못했던100이상의  무언가를 느끼고 싶은 마음에
마스터링을 기대하면서 하는것이 아닌가 생각 합니다.
리법을 믹스엔지니어가 곡의 특성상 최고라고 하고
더 기대이상의 무언가를 바랄때의 마스터링에서
eq, comp사용시 어떤 문제가 발생할수있는지..
리법이 까낀다든지 배음에 문제가 생긴다든지.. 뭐 그런....
궁금할따름입니다..ㅎㅎㅎ

칼잡이님의 댓글의 댓글

그건 일률적으로 이렇다라고 정하기 힘든 문제가 있는데요.

리버브도 주파수대에 따라 양값이 달라지고 길이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컴프와 이큐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사실 믹스시의 상황보다 리버브가 더 들릴수도 있고 적게 들릴수도 있습니다.

어떤 소리를 드러내기 위해 리버브가 풍부하게 울리는 대역대를 올리게 되거나 컴프레서에 의해 전체 주파수 밸런스가 달라지면서 그런 대역대를 더 튀어나오게 만들어버리면 리버브의 양이 좀 더 많게 들리게 될수도 있습니다.

정교하게 하는게 어려운 기술이지만서도 마스터링 엔지니어나 믹스 엔지니어 가운데에는 리버브를 추가 안하더라도 그러한 것을 효과적으로 컨트롤하는 사람들도 있긴합니다.

사고차트1순위님의 댓글

믹싱에서 엄청나게 눌려진 소리(안좋은쪽으로)는 마스터에서 어찌하기
힘들긴합니다.
그러나 그정도로 소스가 안좋았을경우
고가 마스터링 장비를 거치며 자연스러운 배음과
다이나믹이 오히려 눌려진걸 자연스럽게 바꾼느낌이 들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엔지녀의 역량과 되는 음악이 있으니,
원론적으론 믹스를 잘해가야 합니다...
  • RSS
전체 10,326건 / 16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285 명
  • 오늘 방문자 4,974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4,59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496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