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레코딩

TC Finalizer 96k질문이요^^

페이지 정보

본문

TC Finalizer 96k 마스터링 프로세서라고 알고있는데
컨버터의 기능도 수행하는건가요?
만약 수행한다면
AD/DA 모두 지원해주나요?

그리고 TC Finalizer 96k가 토탈 컴프인줄 알았는데
기능이 많더군요...
햇갈리는 장비입니다..
PSX-100을 구매하려다 이녀석을 발견했는데
어찌해야 할지 망설여집니다

관련자료

hans님의 댓글

ADDA컨버터됩니다.
익스팬더, 리미터, 컴프레서, 멀티밴드컴프레서, 이큐....등등의 기능을 갖고 있는것으로 기억합니다.

TWMLEADER님의 댓글

Jerry,,,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만약 TC Finalizer 96k를 컨버터로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아포지 psx-100와의 컨버팅 성능차이가
어느정도인지 아시나요?
크게 차이없다면 TC Finalizer 96k를 구입하려 해서요^^

노효민님의 댓글

대략 3밴드컴프,리미터,익스팬드, 5밴드이큐랑 다이나믹이큐,디에서, 노멀라이징 기능이 있습니다..
컨버터 기능 수행합니다..^^
디지털연결-AES/EBU,spdif,ADAT, 아날로그도 지원하구요.

전 디지털로만 사용하는데.. 아마 디지털 연결만 디더링이 지원될 겁니다.

AB님의 댓글

AD/DA 컨버터 크게 차이납니다.(안좋은 쪽으로) 대략 지금 생각하시는 차이에 곱하기 5 정도 하시면 될껍니다. ^^

저는 HDSP9652에 직결, 빅벤으로 클락 받아서 사용했었는데 그렇게 하면 난리납니다. 미친 듯한 하이퀄리티!

Riverman Music님의 댓글

하이퀄리티라고 하기에는 PSX-100 컨버터도 요즘은 불만족스러워요.... 뭔가 컴프레스된 듯한 느낌.... 플렛하지는 않고요.... 하지만 저렴한 가격에 사서 모디파이한다면 어느 정도 만족할 꺼 같은 느낌이랍니다.

직립나님의 댓글

제 귀가 잘못된건지 아날로그로 파이널라이져를 거치면(AD만 거쳐서 들으면) 아무런 프로세싱을 하지 않더라도 특유의 착색이 상당한데 이게 정상인가 싶을 정도 입니다.

Edwards님의 댓글의 댓글

AB님! 그렇다면 파이널라이져를 외부 클럭을 받아 사용하면
하이퀄리티가 된다는 말씀인가요??
그렇다면 그것은 psx100의 ADDA와과 비교하면 어떨까요??

AB님의 댓글의 댓글

아닙니다, 저는 파이널라이저를 오직 DD로만 사용했습니다. ^^ AD/DA는 극악합니다.
빅벤을 사용하면 DD의 퀄리티가 완전히 바뀝니다. ^^

운영자님의 댓글의 댓글

맞아요. 저역이 얇아지고 소리가 차가워지지요.

ADA의 다이나믹 레인지도 조금 좁은편이구요

전 가급적이 디지털로 사용하시는것을 추천.

하지만 AB님 의견대로 빅벤 연결하고 다시한번 들어봐야 겠네요^^

앨범낼래님의 댓글

저기..죄송한데..외부 클럭을 받는다는 게 뭔 말인가요? adat 같은 걸 쓸 때 워드 클럭 맞추는 걸 외부 기기를 마스터로 설정해서 연결한다는 의미인가요? 외부 클럭을 받는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좀 알려주시길 바라면서 ^^ 그게 음질과도 관련이?....전 그냥 샘플레잇 맞추는 것으로 알았는데 그게 아닌갑네요...

그리고 AB님이 말씀하신 것은 안좋은 쪽으로 차이가 난다는 것이 psx-100보단 파이날라이져가 5배 정도 낫다는 말씀이신지요?...문맥 이해를 제가 못하고 있는 듯 케케..

저두 파이날라이저96k를 쓰고 있구요, 트래킹 할 때부터 일종의 프리(?)처럼 파이날라이저를 거쳐서 녹음을 합니다. vst든 뭐든 말이죵. 프리셋이 간편하고 잘 되어 있다 해서 그냥 바꿔가며 각각 악기들의 음색이 잘 산다고 느끼는 걸 맞춰놓고 트래킹을 하죵. -> 근데 이렇게 쓰는 거랑 컨버터로 사용하는 거랑은 뭐가 다른 건가요? 컨버터로 쓴다는 것의 개념 좀 알려주시와요 흑흑...(이런 용어들 정리한 글이라도 있으면 좋으련만요 ㅋㅋㅋ)

그니까 ADDA로 빠져나가게 할려는데 파이날라이져96K를 젤 먼저 거치게 한다는 건가요? 그럼 연결이 악기들 -> 믹서 -> 파이날라이져 -> 오됴카드나 하드레코더 뭐 이런 식인가요?

어째 내가 더 질문이 많네요 ㅋㅋ


우선 트래킹을 해본 결과로는 그렇지 않고 트래킹을 한 경우보다 확실히 음압이 잘 차있다는 느낌은 단번에 받을 수 있습니당.


음압이 잘 차있게 되니 어쨌든 믹싱에서 자신감이 붙게 되죵.

착색에 느낌은 그냥 거치는 것으로는 하이쪽이 좀 부스트 된 느낌이랄까..차가워지는 느낌이 납니다만, 확연하게 느낄려면 역시 프리셋을 만지게 되는 순간부터겠지요.

프리셋은 변형이 큰 편이니 본인이 듣고 좋은 음색으로 나오는 프리셋을 고르면 되겠지용 케케


제 감상은 이 정도였구요ㅋ 이 제품이 프리셋이 아닌 일일히 설정 모드로 하게 되면 PC 상에서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기계 앞에서 이거 누르고 저거 누르고 해야 하다보니 진작에 포기하게 되더라구요.

그 점을 감안하셔서 선택을 하시면 좋겠구용


제 질문에도 답변을 좀 굽신굽신 ㅋㅋ

AB님의 댓글의 댓글

그러실 바에는 차라리 파이널라이저보다 나은 컨버터로 녹음 후, DD로 파이널라이저를 걸어서 바운스치시는게 더 나을 듯 합니다.... ^^

앨범낼래님의 댓글의 댓글

말씀하신 방법에 대해 설명을 더 해주심이..굽신굽신..

저는 hd192와 2408mk3, o1v96, 1604vlz, 로직을 쓰구요 연결을 어떻게 해서 바운스 친다는 건 무슨 말씀이신지 이해가 잘..ㅋ

바운스 하면 로직 내 바운스를 말씀하시는 건지요 아니면 그냥 트랙킹을 말씀하시는 건지..어떻게 연결을?...

AB님의 댓글의 댓글

저라면 HD192로 녹음후, AES/EBU로 연결한 파이널라이저를 트랙에 인서트, 파이널라이저를 조절해서 원하는 세팅을 만든 후 바운스치겠습니다.

앨범낼래님의 댓글의 댓글

오오..답변 감사드립니다만...

일단 모듈이나 샘플러, 등등은 일단 먼저 hd192로 연결하고 녹음 후에, hd192에서 파이날라이져로, 파이날라이져에서 셋팅한 후에 o1v96로 나가게 해서 hd192를 거치도록 했사와요. o1v96를 거치는 이유는 스피커로 들을 수 있는 방법이 믹서를 거치지 않고는 없기 때문이구용

DD 연결이 아날로그 연결과 분명 차이가 많이 나나용? (전 아날로그 연결을 했습니다만..헐.ㅋ 함 바꿔봐야겠네요 ㅋ)

AES/EBU 연결하면 문제는 O1V96로 나가야 스피커로 들을 수 있는데 HD192의 경우라면 AES/EBU로 나갔다가 파이널라이져로 보내서 세팅 후 다시 AES/EBU로 HD192로 보내게 한다면 내부 라우팅으로 O1V96로 내보내는 식으로 해야 하겠군요.


아직 연결을 마친 상태가 아니라 여러 실험 중이고 제일 편한 상태가 뭔가 하는데 ㅋ 덕분에 좋은 힌트를 얻은 거 같사옵니다 감사합니다~~~

* 바운스 친다는 건 트랙킹 한다는 것과 같은 말씀이신가요? 미디 파일을 개별적으로 웨이브 파일로 만드는 작업...


아, 추가적으로 AES/EBU를 쓰게 되면 워드 클락은 어떻게 하나요?

노효민님의 댓글

저도 AB님 처럼 DD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클럭은 상황에 따라 나노클럭과 싱크I/O를 병행해 쓰고있구요.

아날로그 연결은 한번도 안해봤는데...;;;  좀 비추천인 거군요.^^

TWMLEADER님의 댓글

답변 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모르던 것도 알게되고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은 부지런히 공부해야겠습니다^^;;

hans님의 댓글

저가의 장비보다는 파이널라이져것이 당연히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도 한시대를 풍미했던 기기인데...

그리고 착색은 AD16X도 있는것 같습니다.....

DAD, 프리즘사운드, 라브리..정도되면...대단히 자연스러운색깔(?)을 갖고 있다고 생각되는데요...가격이 너무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파이널라이져쓰셔도 좋을듯싶습니다.

착색이 없는게 어딨겠습니까?^^ 맘에 드는 착색이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RSS
전체 22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258 명
  • 오늘 방문자 3,646 명
  • 어제 방문자 6,25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99,460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53 명
  • 전체 게시물 298,271 개
  • 전체 댓글수 193,402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