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레코딩

RNC 1773 질문이요~

페이지 정보

본문

미국에서 가져온 이녀석 스테레오 컴프라는 것을 잠깐 잊고 있다가

ONYX 400F를 물끄러미 바라보니 인서트 단자가 1~4까지 있고

1773에는 LEFT I/O , RIGHT I/O , SIDECHAIN(TIP=OUT , RING=IN) 이렇게 되어있는 것이지요

제가 1773을 원래 용도에 맞게 스테레오로 사용을 하려면

400F의 인서트 1~4 단자중에 두군데에 Y선을 연결하고 1773의 L/R모두에 꼽으면

되는것인지......궁금하네요

그리고 컴프가 스테레오로 걸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개념이 안잡힙니다..

그리고 인서트의 개념이 아웃보드를 추가로 연결하는 것이 맞나요?

마지막으로 SIDECHAIN(TIP=OUT , RING=IN) 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요

이 질문중에 하나라도 답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관련자료

JesusReigns님의 댓글

메뉴얼은 여기에 있구요~
http://www.fmraudio.com/OtherFiles/RNCQSV0.50.pdf

백페널와 관계된 자료는 여기
http://www.fmraudio.com/panelviewspage.htm

사이드체인은 말그대로 사이드체인인데..
TRS로 out/in을 한 것은 맥키 믹서의 인서트 단자와 비슷한데
사이드체인에 시그널을 주려면 ring(return)에 넣어야 한답니다.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는..
좀 갸우뚱한데.. 사이드체인에다가 EQ를 걸은 소스등을 넣으려면 편리하긴 하겠군요.
그러니까.. L/R 입력을 연결하고.. 사이드체인 단자에 인서트 케이블을 사용해 EQ를 연결하면
EQ된 소스를 컴프회로에 넣을 수가 있군요.

사이드 체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일반적은 컴프레서와 같은데 블럭 다이어그램에서
보시다시피.. 왼쪽과 오른쪽을 합하여 사이드체인으로 넘깁니다. 그래서 왼쪽과 오른쪽의
attenuation이 항상 동일하게 적용되죠. 이걸 스테레오 컴프라고 하는데요 이와 반대로
그냥 두 개의 컴프를 왼쪽과 오른쪽에 걸면 양쪽의 attenuation이 각 채널의 시그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때문에 발란스가 계속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것이 원하는 효과인 경우는
그렇게 하겠지만 대부분의 스테레오 소스는 동일한 attenuation을 적용하는 것이 아마도
정석이겠죠..?

맥키등의 insert jack을 사용하는 믹서에는 그냥 TRS 케이블 (Y가 아닌) 한 개만 컴프의 IN에 연결하면
그 체널의 send/return을 모두 연결할 수 있구요.. 스테레오니까 TRS케이블 두 개면 두 체널이 끝나죠.
안그런 경우는 TS케이블을 사용해서 SEND/RETURN 을 따로 연결하여야 한답니다. 그런 경우엔 TRS를
사용하면 안된다네요. 님은 맥키 믹서니까.. TRS 두 개만 있으면 됩니다.

TWMLEADER님의 댓글

JesusReigns 님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공부할게 정말 많네요
제가 이해 못하는 부분이 대부분이네요 ㅋ
근데 onyx400f는 믹서가 아니라 오디오 카드입니다
rnc는 레프트 라이트 각각 인아웃이 있어서
55잭 꼽는 곳이 총 4개 입니다
사이드체인까지하면 5개군요 ㅋ

RNC 1773 레프트 in  <------             
                                    ----->  onyx400f insert 1
                        out<------

RNC 1773 라이트 in  <------             
                                    ----->  onyx400f insert 2
                        out<------

화살표는 Y잭 trs 를 묘사한 것입니다 ㅋ

지금  rnc와 onyx400f사이를 위의 그림처럼 Y잭 trs 2개를 연결해놓았습니다

JesusReigns님의 댓글의 댓글

그러니까.. onyx 400F에 보면 insert 단자가 네 개 있잖아요..?
거기서 Y가 아닌 보통의 TRS 케이블을 이용해 1773 의 IN으로 연결하면 send/return이 모두 연결 된 것입니다. 그래서 1773의 out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설명입니다.

지금처럼 연결하셔도 괜찮습니다. 이렇게 설계한 이유는 나름대로  맥키의 사용자가 많을 것으로 보고 그렇게 한 것 같습니다. 구지 Y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 한개로 간단하게 연결된다..! 이런걸 장점으로 메뉴얼에 자랑해 놨더라구요.. 장점이라면 장점일 수도 있지만서도.. 반대로 balanced 시그널을 지원하지 않는 단점에 대해서는... 전혀 말 안했든데.. ㅋㅋ
  • RSS
전체 22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16 명
  • 오늘 방문자 5,455 명
  • 어제 방문자 4,894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2,696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277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