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레코딩

오디오인터페이스 잡음.. harry님을 포함해 전기(접지)에 관해서 잘 아시는분..

페이지 정보

본문

오디오인터페이스(파페400) 잡음으로 2번째 글을 올리게 되네요..

우선 가장큰 문제는 오디오인터페이스에서 잡음이 나오는데 이게 컴퓨터를 키면 거의 신경쓰이지 않을 정도로 줄어듭니다. 그것도 왼쪽만..-_-;;

즉, 양쪽다 잡음이 있긴한데 컴퓨터를 키면 왼쪽은 신경쓰이지 않을정도로 작아지고, 오른쪽은 그대로 조금 큰 잡음이 나온다는 겁니다..

아무튼.. 매입접지가 안되서 harry님의 조언을 얻고, 옆집의 채소밭에 허락을 받아 1m의 접지봉(구리봉)을 밖고, 6온스?(대충 3.2mm)짜리 접지선을 연결해 접지를 했습니다.

하지만 잡음은 그대로인 상태..

아무튼 궁금한 부분은 접지가 제대로 되긴했냐는 점입니다..

harry님이 테스터에 관해서 말씀해주셔서 1000원짜리 접지테스터기 쓰다가 이번에 HIOKI제품의 제대로 된 테스터를 구입했는데 이거 어떻게 확인해야 되는지 모르겠네요..;;

우선은 ~A에 놓고, 왼쪽, 오른쪽 테스트 해봤더니 왼쪽은 2.2V정도, 오른쪽은 230V정도가 나오네요..

접지저항이 100옴이하로 나와야 접지된거라고 하셨었는데 이게 어딜 어떻게 찍어야 되는지도 모르겠구요..;;

테스터를 옴에 놓고, 접지극과 오디오인터페이스의 쇠부분을 찍어봤었는데 10~30정도로 왔다갔다 하는것 같고..

아무튼 테스터기를 사놓고도 접지가 되있는지 확인을 못하는 바보같은 저에게 조언 좀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접지가 된거라면 가장 큰 문제인 오디오인터페이스 잡음 문제를 해결해주실 수 있는 분이 나타나기를..ㅜ_ㅡ

관련자료

harry님의 댓글

오랜 만입니다.

대단한 노력을 하신듯 보입니다.

접지저항 값의 측정은 간단한 게 아닙니다.

접지봉이외에 2개정도의 보조 접지봉과 접지 저항 전용 계측기를 필요로 합니다.

일전에도 언급했듯이 현재 상황에서는 저항값의 크기는 차지하고,

테스터기를 ~V(교류전압) 로 놓고,멀티콘센트나 벽체 콘센트의 접지부와 한쪽상을 번갈아 재보시면,

미접지시 전압값이 거의 나오지 않고, 접지시에는 반전압(AC 110 가량) 이 뜹니다.

혹시나 해서 말인데,측정시 감전 주의하시구요.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글 남겨주세요.

SMaker님의 댓글

답변 감사합니다~

우선 제가 머리가 나빠서 잘 모르겠는데 우선 접지는 제방의 장비를 연결할 콘센트만 했습니다.(2구로..)

접지된 콘센트는 위에 적었듯이 ~A로 놓고, 그라운드(접지부) + 왼쪽은 2.2V정도, 오른쪽은 230V가 나오구요..

답변받기전에 혹시나 해서 접지를 하지않은 일반콘센트에 똑같은 케이블을 연결해서 테스트해봤더니 왼쪽, 오른쪽 비슷하게 120V정도 나오는것 같더라구요.

그 말은 즉, 접지콘센트와 무접지콘센트에 차이가 있다는건데 접지가 된걸까요?;

그리고 접지저항에 관해서 생각해보다가 이것도 비슷하게 옴에 놓고, 그라운드(접지부) + 한쪽상을 제보면 되지 않을까 생각해서 해봤더니 접지가 안된콘센트는 아무반응이 없더라구요;

그래서 이거구나!라고 생각해서 접지한 콘센트에 해보니 차단기가 내려가던데;; 이것도 접지가 된건지 알 수 있는 단서가 되지 않을까해서 적어봅니다;;

아무튼 접지가 된거라면 노이즈는 왜 그런건지 참 알수가 없네요..ㅜ_ㅡ

접지가 된거라면 그냥 노이즈가 나오던 말던 신경끄고 편하게 작업해야 하는건지..ㅜ_ㅡ;;(그런데 노이즈가 한쪽만 크게 나오니 신경을 안쓸수가..;;)

디자이너님의 댓글의 댓글

2.2V랑 230V가 뜬다면 그럭저럭 접지는 성공했다고 볼수는 있습니다만...

완벽히 된 것은 아닙니다...

제대로 됐다면 1V미만의 0.몇몇몇... 의 전압이 테스터로 체크됩니다...

물론 접지가 제대로 된다면 정말 좋겠지만...

지금 수준의 접지도 그럭저럭 괜찮은 수준인듯 한데요...

문제는 노이즈인데...

그라운드루프를 의심해 볼만합니다...

그라운드 끼리 또다른 하나의 회로를 형성함으로 생기는 잡음인데요...

주로 케이블이 잘못 제작되어 있거나 제품의 샤시 그라운딩이 잘못되어 있을 경우 등입니다...

접지는 전체적으로 가지가 뻗쳐진 하나의 회로를 구성해야합니다... 그 끝은 땅이구요... 전기를 무한대로 빨아먹는...

이 가지회로에 또다른 원형의 회로가 생기게 되면 노이즈가 발생합니다... 그라운드 루프죠...

장비들의 커넥터를 모두 제거한 후 하나씩 연결해 보면서 노이즈가 시작되는 녀석을 찾아내 보세요...

특히 언밸런스 입출력을 사용하는 장비를 주의 깊게 살펴보시길... 대부분 이녀석이 범인입니다...

(귀찮더라도 전원은 항상 온오프해가면서 체크하시길...)

밸런스 장비들은 거의 말썽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가끔 있긴하지만... 손쉽게 찾아내서 손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테스터를 저항측정에 놓고 AC를 먹여버리면 테스터 고장납니다... 조심하세요...

차단기가 적절한 역할을 잘 해준것 같네요... (상과 접지 사이에는 전압이 존재합니다...)

harry님의 댓글의 댓글

1.답변받기전에 혹시나 해서 접지를 하지않은 일반콘센트에 똑같은 케이블을 연결해서 테스트해봤더니 왼쪽, 오른쪽 비슷하게 120V정도 나오는것 같더라구요.

--> 이렇게 말씀하신 부분이 접지가 제대로 된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접지랑 R상,접지랑 T상 을 쟀을 때 각각 반전압(110V가량)이 나와야 됩니다.

2.그리고 접지저항에 관해서 생각해보다가 이것도 비슷하게 옴에 놓고, 그라운드(접지부) + 한쪽상을 제보면 되지 않을까 생각해서 해봤더니 접지가 안된콘센트는 아무반응이 없더라구요;

그래서 이거구나!라고 생각해서 접지한 콘센트에 해보니 차단기가 내려가던데;; 이것도 접지가 된건지 알 수 있는 단서가 되지 않을까해서 적어봅니다

-->휴...걱정됩니다. 전기는 위험하니깐 생각만 가지고 하지 마세요...접지저항을 그렇게 재는 것은 아니구요.
말씀하신거처럼 접지가 되었다면 반전압(110V)이 뜰건데 테스터기가 저항 측정 레인지이므로 전원 단락(쇼트)을
시켜버렸고, 그결과 차단기가 내려간거지요. 전기가 흐르는 선로를 테스터 내부에서 합선시킨 결과지요 ...위험하니 쪼..옴..ㅋ

3.접지된 콘센트는 위에 적었듯이 ~A로 놓고, 그라운드(접지부) + 왼쪽은 2.2V정도, 오른쪽은 230V가 나오구요

--> 1번의 경우는 정상 접지된 상태인데,3번의 경우는 접지와 R상은 2.2V , 접지와 T상은 230V 나오더라는 말씀인가요?....접지 케이블을 콘센트 어디에 연결한건지요? 좀 이해가 안가네요..오래된 집의 경우 R/T 둘중의 한 상이 접지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요즘처럼 R/T상외 별도 접지가 아닌 경우라는 말이죠--

결론적으로 아래 디자이너 님의 커맨트가 마음에 듭니다.주변 컨넥터들을 잘 보셨으면 하구요.
이왕 접지케이블 까셨으니 이 케이블이랑 콘센트의 접지라인과 연결하시구요.테스터를 교류전압 레인지로 놓고
콘센트 접지랑 좌측구멍,접지랑 우측구멍 각각 반전압(110V)이 뜨게끔만 하시면 됩니다.

SMaker님의 댓글

그라운드루프라는 새로운 것을 알게되었군요..

이게 노이즈의 정답이었으면 좋겠는데 의심되는 부분이 몇가지 있습니다..

우선 그라운드루프라면 그라운드가 있는 제품에서 발생되어야 될터인데 제 오디오인터페이스(파페400)은 DC전원 아답터를 사용하는 모델입니다.. 그라운드가 없죠ㅜ_ㅡ;

따로 개별접지를 했지만 이게 문제가 되는건지..

개별접지한 방법은 오디오인터페이스의 도난방지 고리(?)와 콘센트의 접지연결부분에 접지선과 같이 오디오인터페이스용 접지선을 같이 연결해뒀습니다.

이부분이 조금 의심스럽긴 한데..;

자세히 말하면 콘센트를 까보면 전기선을 연결하는 부분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부분있죠? 그 접지선 연결하는 부분에 접지봉으로 나가는 접지선, 오디오인터페이스에서 나오는 접지선을 같이 연결해서 나사로 조였다는 겁니다; 이게 문제가 되는건지..

그리고 오디오인터페이스의 노이즈가 나오는지를 확인할 때 다른장비는 전혀 키지 않았습니다..(PC를 제외)

연결되 있는건 오디오케이블 뿐..

그라운드루프라는 것이 이렇게 다른장비를 키지 않고, 오디오케이블만 연결되 있어도 발생하는건지 궁금하네요..


다행히 접지에 관한 부분은 그럭저럭 쓸만하게 된것 같아서 안심은 되네요.. 노이즈가 문제지..;;

harry님이 주신 답변에서 1번과 3번을 잘못 이해하신 듯 싶네요;

1번이 접지가 안된 주변에 널려있는 일반콘센트(접지극 조차없는..)이었고, 3번이 접지를 한 콘센트 였습니다..;;

디자이너님의 댓글

harry님이 설명하신 접지 확인 방법은 단상3선식에서의 설명인듯 싶습니다...

반전압이라고 말씀을 하신거 보니...

단상3선식은 과거 110V와 220V을 혼용했을 때의 전기 공급 방식입니다...

상---접지---상    요렇게 구성되어 있고... 상간 220V, 상과 접지간 110V가 나옵니다...

요즘은 거의 안쓰이는 전기공급방식입니다...

SMaker님의 전기는 요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상4선식 또는 3상3선식의 전기 같은데...

근데... 접지선이 시공되어 있지 않아 접지선을 새로 박았다는 것인 듯 한데요...

훔~ 애초에 건축할 때 전기공사업체에서 접지선을 깔지 않았다는 것도 의심스럽지만...

이런 경우 3상3선식 전기공급이라 공사업체에서 접지를 안했을 경우도 있습니다...

R,S,T 중 한개의 상을 변압기 2차단에서 접지하기 때문에 접지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기에...

요즘은 택도 없는 이야기죠... 접지는 반드시 해야합니다...

암튼간에... 모든 연결을 해제하고 하나씩 테스트 해보세요...

금속부위 끼리 접촉되는 모든 부위가 접지와 연결되는 겁니다...

제대로 샤시그라운딩이 되지 않을 바에는 차라리 띄어 놓고 그냥 접지선만 믿고 연결하세요...

그라운드 루프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합니다...

harry님의 댓글

smaker 님은 두가지 경우(양쪽다 반전압 뜨는경우,한쪽만 반전압 뜨는 경우-엄밀히 말하면 루트3분의 1배임)가

한 장소에서 공존하기에 다소 난해한 생각이 듭니다. 콘센트마다 다른 방식의 전기가 들어올리는 만무할텐데 말이

죠. 참고로 우리회사의 경우 델타결선에 RST중 S 상을 접지하고 AC220V 로 사용한답니다.

어떻든 접지 연결은 제대로 하신거 맞습니다.다만 디자이너님 말씀처럼 전압이 0V 에 가까워야는데...

혹시나,컴퓨터와 오디오 인터페이스,콘센트 모두 접지가 되었다면,내장오디오 카드를 시모스상에서 죽이고

해보시면 어떨까요?혹,외장과 내장이(?) 간섭하에 그럴지도...

SMaker님의 댓글

내장 오디오카드를 시모스에서 죽이는건 옛날집에서 벌써 해버렸네요..

이사하고 나서 이 문제가 발생하는거니 가능성이 있다면 그라운드 루프같은데..

그냥 포기를 하던가, 개별접지한걸 띠어봐야 겠네요..

아.. 이사하고 왜 이렇게 많은 일이 터지는지..

방금전에 2년간 동거동락했던 맥키 모니터스피커를 220V로 바꾸는 작업을 했는데 사망한 것 같습니다..ㅜ_ㅡ

115/230변환도 제차 확인하고 연결했는데 왜 날 버리는건지..ㅜ_ㅡ
  • RSS
전체 38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84 명
  • 오늘 방문자 5,367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4,989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556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