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일본에 기술 빼앗길 판 라인 강탈 에 대한민국 발칵

페이지 정보

작성자 라이더1
작성일

본문

정부 손놓은 사이소프트뱅크 라인 접수 속전속결네이버 보유 지분 일부7월초까지 매입하겠다일본 소프트뱅크가 네이버가 보유한 A홀딩스 지분 일부를 7월 초까지 사들이겠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 씩 출자해 설립한 A홀딩스는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 운영사인 라인야후의 최대주주다.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이 일본의 라인야후 탈취 시도로 이어졌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 는 9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라인야후 자본 변경안을 두고 네이버와 논의하고 있다며 7월 초까지 협상을 타결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업계에서는 미야카와 CEO가 구체적인 시점을 못 박으며 지분 매입에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고 평가했습니다. 미야카와 CEO는 라인야후 측 요청에 따라 보안 거버넌스와 사업 전략 관점에서 자본 재검토를 협의 중이라며 아직 합의에 이른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대구 신세계 빌리브 헤리티지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이 소프트뱅크에 추가 매입되는 것에 소극적이거나 저항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네이버도 소극적이지 않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는 네이버에서도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지만 어떻게든 해결하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네이버는 이날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정부가 실책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위정현 중앙대 가상융합대학장은 한국 정부가 사안을 안일하게 보고 대응하는 사이에 대응 골든타임을 놓쳤다고 말했습니다. 뒷짐진 韓정부日 라인강탈 막을 골든타임 놓쳤다소프트뱅크 A홀딩스 지분 매입정부 네이버 의견 따르겠단 말만일본 소프트뱅크가 네이버가 보유한 A홀딩스 지분 일부를 사들이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했습니다. 매입 지분율은 확정하지 않았지만 올 7월까지는 결론을 내겠다고 기한까지 명시했습니다. 라인야후를 온전한 일본 기업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밝힌 것입니다. 이대로라면 네이버는 라인야후의 경영 주도권을 잃는다.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의 안일함을 질타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영향력 지우기 속도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 는 9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네이버로부터 A홀딩스 지분을 사들이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사장도 전날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소프트뱅크가 가장 많은 지분을 취하는 형태로 바꾼다는 대전제를 깔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주식 판매금액 측면에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의 입장 차이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습니다.
국내 정보기술 업계에선 소프트뱅크가 시세보다 싼값에 네이버 지분을 매입하려는 정황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업 자회사 라인야후도 네이버와의 연결고리를 끊고 있습니다. 네이버에 위탁한 IT 인프라 관리 등 주요 업무 23개 중 9개를 종료했고 내년 6월부터 본격 독립한다는 방침입니다. 네이버가 보유한 라인야후의 가치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10조원대로 추산됩니다. 라인야후의 최대주주는 지분 64. 5 를 보유한 지주사 A홀딩스이고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A홀딩스의 지분을 50 씩 갖고 있습니다.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의 약 33 를 보유한 셈입니다. 이날 오전 기준 라인야후의 시가총액이 2조8400억엔 규모인 것을 감안하면 네이버가 지닌 라인야후 가치는 8조원 이상입니다. 지금의 라인야후를 있게 한 데엔 네이버의 역할이 컸다.
2011년 첫선을 보인 라인은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기획하고 신중호 최고제품책임자 가 개발을 총괄한 한국산 서비스였습니다. 일본 기업 소프트뱅크와 반반 경영이 시작된 건 2019년부터다. 네이버 자회사 라인과 소프트뱅크 계열사 Z홀딩스 가 합작법인을 설립하면서다. 아이폰을 일본에 독점 공급하던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이 킬러 앱으로 라인을 눈여겨보다가 합작을 제안했습니다. ○라인야후 대응 손 놓은 정부국내에선 IT 분야 해외 진출의 대표 성공 사례인 라인 플랫폼을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도 거세지는 모양새다. 공정과 정의를 위한 IT 시민연대는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의 조치와 소프트뱅크의 행태에 대해 한국 정부는 강력한 항의와 반대 의사를 표명해야 한다는 성명서를 냈습니다. IT 시민연대 측은 이번 사태를 묵과한다면 향후 한국 기업이 서비스하는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위정현 중앙대 가상융합대학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외교부는 네이버 의견에 따르겠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일본은 글로벌 시장에서 폐기된 플로피디스크를 법적 규정에 따른다며 작년까지 사용한 유일한 국가라며 철저한 법치주의 국가라는 점을 파고들어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는 법적 구속력이 없어 소프트뱅크가 지분 구조 논의를 요구해 와도 네이버가 응할 의무가 없다는 뜻입니다. 정치권도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했습니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해외 진출 국내 기업을 보호하고 한일 관계에 미칠 파장을 조기 차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라인야후 사태를 참담한 외교라고 비판했습니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상황이 이 지경이 될 때까지 정부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며 이 사안은 단지 대주주 간의 경영권 분쟁이나 지분 협상이 아니라 한국 기술을 일본에 빼앗기는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정지은 기자/도쿄=김일규 특파원 jeong hankyung.

회원서명

SIGNATURE

dd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19 명
  • 오늘 방문자 5,378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8,667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1,683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