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비계 삼겹살 논란 제주도 행정지도 강화 별도 등급 건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라이더1
작성일

본문

차세대 모바일 AP 엑시노스 2500 3나노 공정 적용 갤럭시 S25 시리즈 탑재될 듯삼성전자가 갤럭시 S24 시리즈 흥행으로 인공지능 폰의 선도적 지위를 확보한 가운데 자체 개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엑시노스 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내년 출시 예정인 갤럭시 S25 시리즈에 차세대 모바일 AI 엑시노스 2500 이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엑시노스는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모바일 AP다. 모바일 AP는 스마트폰의 연산 멀티미디어 구동 기능 등을 담당하는 스마트폰의 두뇌 로 불립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22년 갤럭시 S22 시리즈에 엑시노스 2200 을 얹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발열과 성능 저하 논란에 휩싸이며 최고급 모델인 S 시리즈에는 퀄컴의 AP를 사용해 왔습니다. 그러다 올해 출시된 갤럭시 S24 시리즈 중 울트라 모델에는 퀄컴의 스냅드래곤8 3세대 칩을 썼지만 기본형과 플러스 모델에는 엑시노스 2400을 탑재하면서 엑시노스의 복귀를 알렸습니다. AI 기능을 앞세운 갤럭시 S24 시리즈가 흥행하면서 삼성전자는 엑시노스의 품질에 대한 자신감도 확보했습니다. 전력 대비 성능 비율 등은 퀄컴의 스냅드래곤8 시리즈가 앞서 있지만 엑시노스의 성능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게 주된 평가다.
특히 엑시노스는 퀄컴 제품 대비 가격이 저렴해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힙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글로벌 설계자동화업체 시놉시스와 협업해 3나노미터 공정 기반으로 모바일 AP 등 시스템온칩 시제품 양산에 성공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게이트올어라운드 기반 3나노 공정을 세계 최초로 양산했고 이번에 업계 최초로 모바일 AP용 반도체 칩에 적용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 공정을 통해 엑시노스 2500 를 양산해 내년 초 출시되는 갤럭시 S25 시리즈에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엑시노스 2500 이 경쟁작인 퀄컴 스냅드래곤8 4세대를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해외 유명 IT 팁스터 판다플래시 등에 따르면 엑시노스 2500은 퀄컴 스냅드래곤 8 4세대보다 전력효율 등에서 우위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같은 분석은 삼성전자의 GAA 기술에 대한 평가 우위에 기반합니다. 엑시노스는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스냅드래곤은 대만 TSMC가 각각 양산합니다.
엑시노스 2500에 적용되는 2세대 3나노미터 공정 노드는 GAA 트랜지스터를 사용해 에너지 누출을 제한하고 구동 전류를 증가시킨다. 반면 TSMC가 양산하는 스냅드래곤8 4세대는 GAA 트랜지스터가 아니라 기존 핀펫 트랜지스터의 2세대 3나노 공정으로 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3나노에 기존 핀펫 방식을 적용 중인 TSMC는 오는 2025년 2나노부터 GAA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적용 확대로 모바일 AP 시장에서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지도 주목됩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출하량 기준 글로벌 모바일 AP 시장 점유율은 미디어텍 과 퀄컴 이 각각 1 2위를 차지하고 있고 애플 이 뒤를 잇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5 로 5위에 그쳤습니다. 업체에 품질관리 매뉴얼 배포과지방 제거 및 교환환불 당부별도 판정 기준 정부에 요청제주 일부 식당의 비계 삼겹살 논란이 전국으로 확산하자 제주도가 대응책을 내놨다. 생산에서 판매까지 단계별 행정지도를 강화하고 유전적으로 지방이 많은 흑돼지에 대해 별도의 등급판정 기준을 만들도록 정부에 공식 건의할 계획입니다.
제주도는 14일 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달 29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시작된 제주 비계 삼겹살 논란과 관련한 대응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강재섭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제주산 돼지고기의 품질과 안전성 강화에 힘써 제주산 돼지고기의 명성을 되찾겠다며 특히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흑돼지 등급 판정 기준을 갖추도록 제도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도는 최근 돼지고기 판매 식당과 정육점 육가공업체 등 274곳에 대한 행정지도를 마쳤습니다. 이들 업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발간한 삼겹살 품질관리 매뉴얼을 배포하고 과지방 사전 제거와 민원 제기 시 교환환불 등 적극적인 대응을 당부했습니다. 생산단계에서는 사육농가가 출하 전 비육 후기 사료를 급여하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비육 후기 사료는 육성기 사료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지만 농가들은 출하시 체중을 높이기 위해 육성기 사료를 급여하면서 돼지 지방 비율을 줄이는 데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도는 조만간 양돈조합과 간담회를 열어 각 농가에 이행을 요청할 예정입니다. 돼지 등급판정 제도 개선도 정부에 공식 건의합니다.
포다이버스 현재 돼지고기 등급은 백돼지와 흑돼지 구분없이 도체중 을 기준으로 등지방두께 등을 평가해 판정합니다. 현재 돼지 1+등급 기준은 도체중 83~93㎏ 등지방두께 17~25㎜다. 흑돼지는 유전적적으로 백돼지보다 지방 비율이 높기 때문에 백돼지와 동일한 도체중을 기준으로 등급을 판정할 경우 비계가 두껍게 형성됩니다. 도는 흑돼지 등급 기준을 도체중 80㎏ 내외로 3~13㎏ 가량 낮추고 등지방두께는 2㎜ 하향 조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농식품부에 공식 건의할 예정입니다. 제주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흑돼지 도축 비율이 낮아 별도의 판정 기준이 없는 상태라며 그러나 제주도는 도축물량의 30 가 흑돼지이기 때문에 품종에 맞는 품질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2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열받아서 잠이 안 옵니다 라는 제목으로 비계 삼겹살에 대한 게시글이 올라오면서 논란이 일었고 댓글이 이어지며 전국적인 이슈가 됐습니다.

회원서명

SIGNATURE

dd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28 명
  • 오늘 방문자 4,830 명
  • 어제 방문자 6,56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54,257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2 명
  • 전체 회원수 37,548 명
  • 전체 게시물 287,451 개
  • 전체 댓글수 193,397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