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K 배터리 업계 글로벌 특허전쟁 나선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라이더1
작성일

본문

삼성전자 갤럭시 링 이달 양산 스마트 링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반지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인 스마트 링은 부피가 작고 가벼워 착용이 편하고 심박 수수면 상태 등 온종일 건강 상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제 막 개화하기 시작한 스마트 링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애플과 삼성전자 등 빅테크들이 뛰어들고 있고 먼저 제품을 출시한 스타트업들은 특허 소송으로 후발 주자들을 견제하고 있습니다. 정체 상태인 스마트폰 시장과 달리 스마트 링은 앞으로 급격히 성장할 전망입니다. 시장 조사업체 데이터호라이즌 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4710만달러 였던 세계 스마트 링 시장은 연평균 25. 4 씩 성장해 2032년이면 14억5100만달러 에 이를 전망입니다. 테크업계 관계자는 스마트 링은 스마트 안경이나 이어폰보다 착용이 쉬워 훨씬 실용적이라며 스마트 워치를 잇는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반지의 제왕 자리 놓고 경쟁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두고 격전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와 애플이 스마트 링에서도 일전을 벼르고 있습니다. 10일 IT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8월 갤럭시 링 출시를 앞두고 이달 중순 양산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앞서 지난 2월 세계 최대 모바일 박람회 MWC에서 갤럭시 링의 디자인을 전시했는데 이번 7월 언팩 행사에서 주요 기능을 발표한 뒤 상용화하는 것입니다. 갤럭시 링의 주요 기능은 건강 추적입니다. 수면 정보와 심박 수 등을 삼성 헬스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애플은 2015년부터 관련 특허를 잇달아 출원하며 스마트 링을 개발 중입니다.
e편한세상 부평 그랑힐스 건강 정보 확인뿐 아니라 컴퓨터의 마우스처럼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VR 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아직 출시일은 미정이지만 라이벌인 삼성전자가 제품을 내놓는 만큼 애플 역시 스마트 링을 곧 공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 IT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 링 시장은 스마트폰을 통해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생태계를 구축한 빅테크들에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기업들도 저가 제품을 앞세워 공세에 나섰습니다. 샤오미는 지난 4월 스마트 링 블랙 샤크를 중국에서 출시했습니다. 두께 2. 2㎜에 배터리는 최장 0일까지 지속됩니다. 센서로 생체 정보를 추적하고 스마트폰과 연결해 원격으로 사진 촬영 버튼을 누를 수 있습니다. 가격은 599위안 입니다. 300달러 이상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른 제품의 약 4분의 1 수준입니다. 중국 어메이즈핏도 지난달 미국에서 스포츠 선수들의 건강관리에 특화된 헬리오 링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중국 아너 역시 스마트 링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다양한 기능 탑재 특허 소송도 치열 단순히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이 속속 스마트 링에 탑재되고 있습니다. 영국 기업 맥리어의 스마트 링 제품은 무선 결제가 가능합니다. 신용카드나 스마트폰 대신 반지를 단말기에 터치하면 됩니다.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제품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의 발전은 스마트 링을 더 똑똑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인도 노이즈의 루나 링은 AI와 결합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건강관리를 제안합니다. 2000만명의 사용자로부터 얻은 10억개 이상의 데이터를 학습했습니다. 시장이 커지면서 경쟁사를 견제하기 위한 법적 분쟁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핀란드 기업 오우라는 경쟁자인 서큘러 링콘 울트라휴먼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오우라는 2015년 첫 제품을 출시한 이후 시장의 60 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링 디자인이 공개된 이후 톰 헤일 오우라 최고경영자 는 CNBC 인터뷰에서 자세히 살펴보고 있으며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법원에 오우라를 상대로 특허 5개를 위반하지 않음을 확인해달라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제품 출시 전 선제적으로 불확실성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LG엔솔 등 배터리3사 특허 무기화베끼기 중국 기업에 소송 제기경쟁업체에는 특허사용료 부과한국 배터리 업계가 특허 무기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그간 확보한 기술력에 대한 법적 권한을 보다 공격적으로 활용해 시장 주도권을 쥐겠다는 구상입니다. 특허권을 무단 침해하는 중국 기업에는 소송을 걸고 경쟁 업체에 특허 사용료를 부과하는 사례가 빈번해졌습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전기차용 배터리 셀 업체들은 중국 배터리 업계가 특허권을 무시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대해 대응 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보유한 특허 기술 사용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채 일부 중국 업체가 제품을 개발생산하고 있어서입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배터리 셀 공급사를 선정할 때 타사 특허권 침해 여부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라는 입장입니다. 이에 국내 배터리 업계는 강경 대응을 선언했습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는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위한 필수 요소는 지적재산권 존중이라며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고 무분별한 특허 침해에 엄중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합법적인 계약 없이 기술 침해를 지속하면 특허 침해 금지 소송 등을 진행할 방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특허 수익 수취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헝가리 특허관리전문회사 인 튤립 이노베이션은 최근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의 리튬이온배터리 기술 관련 특허를 통합해 새 라이선싱 프로그램을 출시했습니다.
튤립은 LG에너지솔루션이 따로 관리하지 않아도 로열티 수입을 얻을 수 있도록 특허 관련 협상 및 소송을 대신 진행하는 기관입니다. 삼성SDI는 지난달 21일 올해 처음으로 IP 페어를 열고 특허 확보에 기여한 임직원들에게 상을 줬습니다. 최윤호 대표도 참석한 이 행사는 특허가 미래다라는 슬로건 아래 특허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특허 출원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렸습니다. 특허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SK온은 새 특허 확보에 열을 올리는 중입니다. SK온이 중국에서 보유 중인 특허와 출원 대기 중인 특허를 모두 합치면 약 300건인데 이 가운데 36건의 신규 특허를 지난달 승인받았습니다. 전체 중국 특허 중 10 이상을 한 달 동안 취득한 것입니다. 배터리 업체가 특허 관리를 강화하는 것은 로열티 수익 창출로도 이어집니다. 미국 반도체 회사 퀄컴이 특허 사용을 허가하는 대신 받는 로열티 매출은 지난 1년간 57억9200만 달러 에 달했습니다. 퀄컴 사례처럼 한국 기업들도 특허 장벽을 높이 쌓으면 발주처에 경쟁 업체의 막대한 특허 비용 지불 가능성을 거론함으로써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특허를 방어적으로만 활용하는 건 한국 기업이 추격자일 때 이야기라면서 특히 한국이 선두권에 자리한 전기차용 배터리 업계에서는 특허를 활용해 후발 업체를 견제하며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회원서명

SIGNATURE

dd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77 명
  • 오늘 방문자 5,380 명
  • 어제 방문자 6,067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17,635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303,543 개
  • 전체 댓글수 193,409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