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파워 케이블로 소리가 바뀐걸 실감했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아이맥에 아포지 앙상블을 사용중입니다. 스피커는 vxt 6 이구요
스피커에는 모가미 케이블을 사용하고있구요
전원케이블은 전부 막선, 번들만 사용했었는데
오늘 벨덴 파워케이블을 받아와서 앙상블에 연결했더니
소리가 말도 안되게 좋아진겁니다.

변화된점은 저역이 좀더 단단해지고 고역대가 샤해졌네요

오디오케이블도 막선쓰다가 모가미로 교체했을땐 별 차이가 없던것같아서
기대는 안했는데 이번에 전원케이블에 대한 음질차이를 경험했네요

너무 마음에 듭니다.

회원서명

SIGNATURE

Compose, Arrange, Mixing, Mastering. akakingj@naver.com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케이엘님의 댓글의 댓글

여기 글들 찾아보니 스피커는 번들케이블 사용하는게 변화가 없어서 추천안한다고해서 오디오카드만 물렸어요 ㅎ

은근평론님의 댓글의 댓글

사실 그렇게따지면 다른기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제생각에는요..... 해상도가 훨좋아지니까요..

harry님의 댓글

벨덴 19364 쓰셨나요?
혹시 대출력 SR 파워앰프에도 해당이 되려나요????
살짝 구미가 당기긴하는데, 단가가 은근....ㅠㅠ

Gremlin님의 댓글의 댓글

대축력용은 커넥터 iec가 15A 용이 아니라 20A용이 쓰일텐데요...
가격이 많이 비싸구요. 또한 허용전압과 전류량에따라 선재및 커넥터를 구입하셔야합니다.

EATmusic님의 댓글

혹시 파워케이블 교체시 소리 바뀌는 원인에 대해서 이론적인 설명을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전 컴퓨터하고 전기쪽에서 시작했는데도 케이블에 따른 차이에 대해 잘 모르는 편이라서요 ㅜㅜ
모르는게 너무 많다보니 하나라도 더 알아가고 싶슴다~! 부탁드려도 될까요>?^^

harry님의 댓글의 댓글

3가지 측면인거 같습니다.
도체의 소재,굵기,차폐의 유무

일단 케이블의 핵심적인 소재는 도체겠지요?
이 도체를 형성하는 대부분이 구리이고,전도율을 높이기위애 순도를 높이거나 은이나 금을 섞기도 하지요.
케이블 회사마다 제품의 그레이드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소재를 쓰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전원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220v 전압계에 나온다고 같은 전원은 아니라는 것이겠지요.
오실로스코프를 찍어보면 좀 구별이 될려나...암튼 전원의 품질을 높이는 작업일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서치를 해보니 일반 전원선보다 몇단계 높은 사이즈를 사용하더군요.
이는 전류량을 늘일 수 있고,음향과 같은 대부하에 즉시 대응이 쉬운 장점이 있겠군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겁니다.

더 나아가 노이즈 발생은 물론 외부의 유입노이즈에도 막아주는 차폐 소재도 같이 쓰여지고 있기 때문에
전원의 순도가 높아지면 후단 기기에 -아무래도 노이즈에 취약한 전자소재이므로 - 순기능을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론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생각되는데, 막상 해 본적이 없으니 저도 질문을 달았네요.;;

harry님의 댓글의 댓글

동의합니다. 납의 주성분이 주석인지라..
전기 전도율을 보면 은/구리에 비해 한참 떨어지는지라
가급적 납은 고정용으로만 쓰고 접합부엔 동도체가 바로 닿게끔 하는게 낫겠지요...

케이엘님의 댓글의 댓글

보면 소리라는게 정말 신기합니다.
솔직히 오디오케이블 막선쓰다가 모가미로 바꿨을때 별 차이를 못느껴서 파워케이블도 속는셈치고 바꾼건데
효과가 있다는게 신기하군요...

Gremlin님의 댓글

도체의 굵기는 저역의 양감에 영향을 미치구요.
단심선일수록 저역의 질감에 영향을 줍니다.

아직까지도 이론적으로 증명된것이 거의 없습니다만...
그만큼 변수가 많아서요...  표준안 자체를 마련하기가 쉽지않거든요.

그리고 파워케이블은 모니터 스피커에 사용하실경우 모니터의 기준이 변해서 모니터링하기가 힘든거구요.
번들선 사용시 변화율 편차를 정확하게 알고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결과물이 전혀 엉뚱하게 나오거든요.

EATmusic님의 댓글

오오! 좋은 정보들 너무 감사합니다~!
기회가 되면 여러가지 측정장비를 마련해서 케이블 별 변화에 대해 연구해 보고 싶어지네요.
이미 하신분도 계실듯 하지만 아직 발견을 못해서 아쉽네요! ㅋ
열심히 귀로 테스트해가며 좋은 케이블을 찾아봐야겠네요~!
  • RSS
전체 20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07 명
  • 오늘 방문자 4,870 명
  • 어제 방문자 4,894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2,111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4 명
  • 전체 게시물 280,112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