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좋은 가수와 나쁜 가수에 따른 컴프레서 대처 방법- 장인석 생각2

페이지 정보

본문


* 좋은 가수는 음정과 박자는 기본이고, 가사에 따른 레벨  변화에 일관적인 음색을 갖는다. 이에 반해 무늬만 가수인 사람은 음정 박자는 고사하고 가사에 따른 레벨 변화에 거친 음색 변화를 보인다. 이 두가지 경우 컴프레서는 어떻게 설정해야 좋을까? 

통상적으로 좋은 가수에게는 마일드하게 설정한다. 예컨데. 어택은 될 수 있으면 길게(10ms 이상), 릴리즈는 될 수 있으면 짧게하여(500ms 이하) 원음 보존에 힘쓴다. 이때 비율은 4에서 5 : 1정도이고 GR은 약 -6에서 10정도.(물론 항상 그런것은 아니지만.,.단지 참고)

무늬만 가수인 경우에는 전혀 다른 개념의 컴프 설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가수에게 있어 EQ 사용은 상당히 힘들다. 그 이유는  가사에 따라 음색 변화가 불규칙하므로, 설정한 EQ값이 가사에 따라 필요하기도 하고 과도하게 들릴 때도 있다. 따라서 이런 가수의 음색은 컴프로 일관되게 만든 후 EQ를 사용하는게 용이하다. 어택은 될 수 있으면 짧게(1에서 5ms), 릴리즈는 될 수있으면 길게(500에서 1000ms)로 처리해 거친 음색을 부드럽게 처리한 후, 손상된 부분을 EQ로 보상한다.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음..가수들이 컴프를 풀어달라고 이야기를 할 정도면. 무언가 컴프레서가 잘 못 걸린것이 아닐까요?

간혹 컴프레서때문에. 사비에서의 지르는 느낌이 반감된다는 가수들도 있습니다만..

그러한 경우는 그에맞는 컴프레싱이 느껴지지 않는 자연스러운 컴프레싱역시 엔지니어의 몫이라 생각됩니다.

宋 敏 晙님의 댓글

  문제는 컴프가 걸리지 않는 부분에서도 그렇게 요구한다는 겁니다....
(안걸면 특유의 X같은 소리가 나오기 때문에 안걸기도 뭐하고.... 아무튼... 상황이 말로
설명하기는 좀 그렇습니다. 혹시 이해 가실려나요... 무조건 컴프걸든 안걸든 컴프 빼 주세요 라고 말하는 무늬만 가수도 간혹 있습니다.)

운영자님의 댓글

  무늬만 가수이기는 합니다만..

가수들이 그렇게나 컴프레서에 불신이 생기게 만든 엔지니어의 책임도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을 것입니다.

컴프레서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기도 이전에

가수들의 목소리에 불안전하고 불필요한 컴프레서들을 사용하게 되면서.

가수들이 그렇게 컴프레서에 피해의식이 생긴것도.

모두 엔지니어의 책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니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대화의 문제로.

컴프레서를 사용하기 이전에. 가수들에게 마이크 테크닉과 마이크 사용법에 대해서 충분히 이야기 하는 것도

역시 엔지니어의 몫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민준님께서 말씀하신 상황이 어떠한 것인지 이해는 갑니다만..^^

장인석님의 댓글

  장인석입니다. 제가 이 글을 올린것은 이런 기회를 통해 개개인의 조정 방법을 논의하고서로의 정보를 나누고자 함이니다. 따라서 이글에 대해 반박하거나 혹은 이견을 말할 필요는 없다고 봄니다.  단지 자신의 조정 방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면 되지 않을까요? 그러므로써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참고하고 한층 우리들의 음향 지식을 상승시킬 수 있다면 이것이 바로 엔지니어의 위상을 높이는거라 봄니다. 비록 free-board라 할지라도, 격양되거나 상스런운 말투는 삼가합시다. 그것은 엔지니어간의 이견만 불러일으킬뿐, 서로 간에 어떤 도움도 되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모든 엔지니어 후배와 제자들을 사랑합니다. 여러분 가운데 세계적인 엔지니어가 나오길 항상 기원합니다. 따라서 계속해서 글을 올릴 것입니다. 우리 노력 합시다.   

김영기님의 댓글

  가수들이 인지할만큼
더군다나 바이패스를 느낄만큼의 문제라면
조금 심각한데요..^_^


그냥 새벽에 심심해서 달아봅니다..^^

宋 敏 晙님의 댓글

  심각하죠.... 그런 목소리가 있다 하더이다. 허허......... 그리고 바이패스 하지 않았음에도 손만 갖다대면 이제 됐다 하는 아해들더 있죠. --;

장인석 선생님... 선생님글에 이견을 제시 하고자 하는 맘이 있어서 그런게 아니라
그러한 아해들이 있었더라 라는 저의 경험담이었습니다. 흐흐..
라이브는 스튜디오와 많이 다른듯 합니다. Feedback과의 전쟁 때문에 맘 놓고 EQ질도
할 수 없으니 말입니다..... (채널이라도 여유가 되면 맘 놓고 채널 분할해서 할텐데..)  보통 저는 드레숄드는 0 , 레이시오는 4:1 어택은 50mm 릴리즈는 상황 맞춰서 짧게 겁니다. 일반적인 보컬에 쓰는 방법이구요.(저도 여유 되면 이거저거 다 걸어 보고 싶습니다!!)  아닌 아해들은 대중 없죠.

김영기님의 댓글

  가장 많이 겪는게 모니터레벨..ㅡㅡ;

노브에 손만 갖다 되면 "오오~됐어요! 좋아요!" 하는 애들이.. 캬캬캭...-_-

저는 보컬에 하이 +10 이퀄라이징 하고 싶어요;;어흥어흥~ㅋㅋ

이재훈님의 댓글

  저는 스스로 제 목소리를 녹음할 때...

어택은 짧게 릴리스는 길게 설정했었는데
(릴리스가 위에서 말씀하신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

부족한 저에게 적당한 방법이었던 것 같군요. 하...

좋은 보컬이 되도록 노력해야겠지요.
  • RSS
전체 8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05 명
  • 오늘 방문자 5,749 명
  • 어제 방문자 6,82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61,999 명
  • 오늘 가입자 2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0 명
  • 전체 게시물 289,339 개
  • 전체 댓글수 193,398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