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음향엔지니어를 업으로 삼으려는 학생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우선은 제 간단한 소개부터 드리겠습니다.
이름은 황준영(24)이라고 합니다.
경기도 D대학 전자공학과 3학년 재학 중이랍니다. (곧 2학기가 끝나네요)
어릴때부터 당연하게 전자공학과에 들어가야지.. 라는 생각으로 단 한번의 고민 없이 학과를 정하여
이렇게 대학에 다니고 있지만.
학교를 다니면서 "전자공학과에서 하는것들은 제가 하기에는 맞지 않다." 라고 결정을 내렸답니다.
고등학교때는 방송반 엔지니어, 대학교때는 기타동아리에서 연주회시 음향담당 을 맡아오면서
이런일도 하고싶다.. 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고있었지만 전자공학과에 갈꺼니까 하는 생각으로 고이 접어두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고이 접어두었던 것을 다시 펼처보았습니다.
오랜만에 가슴이 뛰었지만, 생각해보니 막막하더군요.
당장 한발짝을 어떻게 내딛어야 할지를 몰라서 마음만 졸이고 있습니다.
우선 내년은 휴학을 하고 어학연수를 가게 되어있습니다.(집안 사정상 꼭 가야만하는거라서;)
다음해 또한  어시스턴트로 시작을 하고 싶어서 휴학을 계획중입니다.

이 어시스턴트가 되기 위해서 무엇을 공부해야할까요.
관련학과를 나온것이 아니기에 모자란 부분이 많을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엔지니어가 되기위한 과정이 어떤것이 있을까요.

오디오가이 여러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p.s. 이렇게 너절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자료

라디5님의 댓글

일단 어느 분야로 가고 싶으신지 그걸 정하셔야 되실것 같습니다.
라이브엔지니어와 레코딩엔지니어가 공부하는 분야가 약간 차이가 있죠...
운용하는 장비도 차이가 있구요..
개인적인 생각으론 레코딩계열은 음악쪽으로, 라이브는 공간음향과 전기를 좀 알아두시면
일하실때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칼잡이님의 댓글

엔지니어가 되겠다고 마음먹으면서도 막상 준비를 잘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레코딩 스튜디오쪽이라면 교재 몇권을 꼽자면 기초음향책 2,3권. 프로툴 메뉴얼. 매키 1604 메뉴얼, 예술 고교 입시용 중학교 음악통론. 이정도만 잘 정독하고 이해해서 외워도 업무에 빨리 적응할 수 있습니다.

준비가 안된채로 무조건 하자! 라는 식으로 스튜디오에 들어가려 하면 어려움이 많을 수 있습니다.

Neverenough님의 댓글

위의 두분 모두 답변 감사합니다.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막막했는데 그래도 무엇을 공부해야할지 알려주시니 마음이 조금 편안해 지네요 ㅎㅎ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RSS
전체 13,806건 / 159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43 명
  • 오늘 방문자 4,270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3,892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373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