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2004년도(5회) 무대전문인자격시험 문제

페이지 정보

본문

무대 예술음향협회 공지사항에서 발췌


2004년도(5회) 무대전문인자격시험 문제



김성연 회원 협조
(무대음향의 경우 책에서 출제된게 별로 없어서 기억을 못한답니다. 양해바랍니다)

■ 제5회 무대예술전문인 1급

[무대음향]

1. W/L(무선마이크) 안테나 설치시 주의해야할 사항은?

2. 음악회에서 스테레오 녹음 방식에 대한 설명?
EX) MS 방식, XY방식에 대한 문제

3. 콘솔과 전자악기의 임피던스 매칭에 관한 문제.

4. 공연장 객석의 스피커 지향 범위에 따른 최대 음압 차이는 몇 dB이어야 하는가?

5. dBu의 기준 전압은?

6. 전력(P)에 대한 설명?
EX) 옴의 법칙에 대한 내용으로 기억합니다. 이것에 대해서 맞는 것을 선택하는 문제
였습니다.

7. 어떠한 장비의 Frequency Response 그래프가 예시로 나왔고, 이 장비의 주파수 응답
대역(?)을 맞추는 문제.



[공연장 안전 및 관련법규]

1. 공연장 안전관리 방향에 대한 설명 ?

2. 둥근톱 사용시 안전 작업에 대한 설명?

3. 중량이 있는 물건 운반시 기계화 작업을 해야 하는경우?

4. 승강장치 사용시 안전수칙 설명?

5. 와이어 로프의 효율적인 끝단 처리 방법은 ?

6. 윈치 타입의 구동 방식에 대한 설명?

7. 동력전달 장치용 부분은?
EX) 예시로 축, 베어링등등....의 예시가 나왔습니다.

8. 인체가 장맛비에 흠뻑 젖어 있을 경우 허용 접촉 전압은?
EX)①1.5V, ②2.5V, ③12V, ④25V

9. 전로의 사용전압 200V 경우 절연 저항 값은?

10. 전기기계 기구 점검 주기는?

11. 이동식 전기 설비의 경우 콘센트에 대한 안전 대책은?

12. 제3종 접지공사에 대한 설명?

13. 전기설비 점검에 대한 설명?

14. 1급 점화원의 종류는?
EX)1급 점화원의 종류를 4지선다형 중 1가지는 2급 점화원 이었습니다.

15. 질식소화 할때의 산소의 농도는?

16. 대류권은 지면에서 얼마나(몇 ㎞) 떨어져 있는가?

17. 음이 두 귀에 도달할 때 까지의 거리차가 발생으로 음원의 방향을 정확히 알수 있는데
이는 무슨 효과라 하는가?

18. 무대예술전문인 국가 자격제도 설명(맞는 설명 찾기)?

19. 무대, 무대하부, 오케스트라 피트등 무대에서 기타 여러사람이나 무대 도구가 접촉될
우려가 있는 저압 실내 배선 전압은?(몇 V 인지 맞추는 문제)

20. 무대 시설 안전진단에 대한 설명?

[극장 상식 및 용어]

1. 고대 그리스 극장의 구조 설명은?

2. 외이나 중이를 거치지 않고 두개골이나 청신경을 자극하여 지각되는 소리는?(귀의구조)

3. 그리스 극장에서 코러스와 배우들이 출입하는 통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4. 로마시대의 극장 설명은?

5. 작가와 작품이 알맞게 연결된 것 찾기?

6. 제시주의에 대한 설명은?

7. BOX THEARTER에 대한 장점은?

8. 오페레타의 설명은?

9. 스텐실 기법으로 나타 낼수 있는 그림은?
EX) 나이테, 벽돌(?) 등등.....

10. 발레의 무대장치, 소품 용어는 무엇인가?
EX) 당쐬즈, 당쐬, 프로미에 당쐬(?), 데꼬르

11. 일본 전통연극에 대한 설명?
EX) 전통 인형극 - XXX 이런 형태로 나왔습니다.

12. 중극 경극 역할 중에서 여자 역을 일컫는 말은?

13. 판소리에서 창자(소리꾼)의 몸짓 표현을 무엇이라 하는가?

14. 판소리 장단중 가장 느린 박자를 일컫는 말은?

15. 마당극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짝지어진 것은?

16. 관객 공간의 안전과 질서를 감독하는 사람은?

17. 의상디자이너가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하는 사항은?

18. 무대 바닥을 적당한 크기의 칸으로 나누고 각각의 바닥을 쉽게 제거하거나 승강할 수
있는 무대 시스템은?

19. 장치제작소의 조명밝기는?

20. 무대의 wing 공간이 있으면 무대 전환 장치는 어떤 것을 사용하면 좋은가?

[무대기술]

1. 무대장치 재료중 판재(BOARD)에 대한 설명은?

2. 18㎜ 마닐라 로프의 안전 작업 하중은?

3. 보여지는 그림(평판)에 사용된 도구 맞추기 문제
EX) 멈춤판, 경첩, 묶음쇠 등등.....

4. 라인세트에 대한 설명은?

5. 무대에서 사용하고있는 BAR에 대한 설명?

6. 프로시니엄 아치 대비 회전무대의 이상적인 지름은?

7. 시트, 폼, 튜브 등에 시판되어지고 있으며, 성형이 간편하여 곡선 몰딩에 주로 쓰이는 플
라스틱의 한 종류는?

8. 17세기 옆막을 개발하여 빠른 장면전환을 한 사람은?

9. 세바스티아노 세를리오가 주창한 3가지 무대 배경에 관한 기술은?

10. (그림의 예시) 다음 그림중 뿌리기 기법을 사용한 그림은?

11. 플라스틱 종류의 하나로 연성은 흔히 스펀지, 경성은 발포 우레탄이라고 불리는 재료
는?

12. 극장 무대 바닥은 어떤 재질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극장 무대바닥 설명은?

13. 도료 및 안료에 대한 설명

14. 작업장에 위험한 곳이나 위험요소에 색채 표시 구분 설명?
EX) 금지- 적색 등등.....

15. 피아노 건반에서 440Hz 에 해당되는 음계는?

16. 차음에 대한 설명은?

17. 렌즈를 사용하여 투사 이미지의 포커스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투사기는?

18. 조명봉의 적절한 높이는?
EX) 누구의 관점에서 봐야하는지..,,,,,

19.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3E 요소는?

20. 그림의 예시에 문 평판구조중 그림보고 해당 부분의 용어 맞추는 문제.

[무대제도]

1. A2 용지의 면적은 A4 의 몇배인가?

2. 무대제도 축적에 대한 설명은?

3. 중심선 단면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은?

4. 무대도면의 목적은?

5. 다음 도면의 중심선 표기 모양은(그림예시)?

6. 무대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하는 것은?

7. 승강무대면이 75㎝ 하강했을시 무대 평면도 상의 높이 표기 방법은?

8. 무대제도에 쓰이는 선중 그림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묻는 문제(그림예시)

9. 조명 디자이너가 무대 디자이너로부터 제공 받아야 하는 도면은?

10. 무대 디자이너가 완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면은?

11. 크기가 다른 단위는?

12. 그림을 예시로한 투상법에 대한 문제.

13. 캐드 작업의 장점은?

14. 극장이 공연단체에 제공해야하는 도면은?

15. 숨은선 표기 방식은?(그림으로서 예시를 보여줌)

16. 제 3각 법중 우선적으로 생략할 수 있는 것은? (그림으로써 예시를 보여줌)

17. 대칭 반복에 대한 그림 예시

18. 예시된 그림들중에서 등각축측 투상에 대한 문제.

19. 극장 도면의 성격에 대한 설명?

20. 그림을 예시로 들고 치수 표기 방법에 대한 문제.
무대음향 2급(허정회원 협조)
1. 오페라에서 음향담당자가 준비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2. 1M에서 100dB(1w/㎡)이 9M 뒤에서의 음압은?
3. 연극에서 음향담당자의 역할은?
4. 익스펜더게이트의 기능이 옳은 것은
〫5. 상온 20〫℃에서의 소리의 전달거리는?
331.5×0.61t (t=온도) 6. 0dBV=1V
7. 패시브크로스오버에 관한문제 (P.99)
8. 저항계산문제 (8Ω)
9.앰프사용법에 관한 문제
10. 좋은 믹서란 (P.126-127)
11. 신호전달경로로 옳은 것은 마이크- 프리앰프- 녹음기- 모니터스피커
12. 마이킹방법으로 틀린 것은
13. 마이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4. 게인. 라인레벨에 관한문제
15. 디지털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과1로만으로 표현을 함으로 표현력이 좁다....
■무대음향(김일용씨 협조) 1.마스킹효과?
2.1KHz 파장은?
3.Sabine 의 잔향공식으로 잔향시간
4.음향효과기,제어기 등 설명과 종류의 이해
5.콘솔의 입출력(AUX.BUS,INS,PAN)의 설명중 틀린 것은?
6.타악기가 아닌 것은?마림바, 봉고, 실로폰, 하프시코드
7.무대음향인의 자질 및 기본소양을 묻는문제
8.거리가 2배일때 몇 dB가 감소하는가?
9.음의 피치를 인식하는 귀의 인식기관은?
10.마이크 설치시 유의점이 아닌 것은?
11.다이나믹 레인지의 개념
12.국악에 있어 형식, 종류, 악기등 전반적인 이해?
13.음의 구성요소중 틀린 것은?
14.등청감곡선의 이해정도?
15.캐논-TRS짹 결선도의 이해?
16.마이로폰의 구조 원리의 이해
17.음색의 변화에 따른 장비운용방법(예:EQ.COMP,GATE등...아웃보드류의 설명예시)
18.피드백을 감소시키는 필터는?(1.로패스 필터2.밴드위스필터3.하이패스필터4.노치필터)
19.다음 보기 중 레벨의 크기가 작은것부터 나열하시오?(보기:마이크레벨/라인레벨/스피커레벨

관련자료

오명록님의 댓글

  올해 무대예술전문인 시험을 보았다던 무대음향감독에게 물어보았는데...시험문제가 시험을 위한 시험이었다 라고 말하더군요. 어려운 문제인것 같은데 시험준비를 위한 수험서에 대부분 나와있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책만 열심히 보면 됩니다.
알바로 뮤지컬 오퍼레이터하며 전국의 문예회관을 돌고있는데...정말이지 그자리에 있어야 할 감독들은 반도 안됩니다. 공무원들이 직접 관리하는 곳은 말할것도 없구요.

또한 무대시험을 볼려면 극장경험이 있어야 하는데...그게 정말 웃겨요..대부분의 극장은 각분야로 별로 한사람씩만 있습니다. 1500석이라는 창원성산아트홀도 무대음향감독은 한 분입니다....2005년부터 극장에서 자격증있는 사람만 채용한다면 2005년 이후에 시험을 볼려는 사람은 어디서 극장경력을 만들어야 할까요? 극장에 아예 들어갈수가 없는데...

오명록님의 댓글

  저는 문화관광부와 국민고충처리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현상태의 무대예술인시험의 자격요건으로는 시험에 응시할 만한 대상은 극히 일부분이며 이는 또다른 형태의 차별조항이란 내용으로...국민고충처리위원회에서 민원이 접수되었고 시행처인 국립극장처에서 제도개선를 하겠다는 통보를 해왔다고 합니다. 앞으로 어떡해 바뀔지는 지켜봐야 할테지만...많은 사람들에게 시험을 볼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되 대신 시험을 정말 시험답게 만들어서 실력있고 근성있는 엔지니어들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jude님의 댓글

  저도 지방공연 투어를 도느라 이 시험을 치루지 못했는데, 자격 요건에 대해서 상당히 폐단이 있다고 봅니다. 경력도 경력이거니와 저같이 한 공연으로 6개월이 넘는 장기 공연을 , 것도 6개도시를 넘는곳에서 공연한 사람은 작품수가 결국 하나이기 때문에 자격요건이 안된다고 하더군요. 물론 관련학과 출신이니까 인정해준다는 년수도 더더욱 이해가 안갑니다.... 현장에서 일한 경력이 넘쳐나는 사람은 3급시험조차 볼 자격도 없고, 지방극장에서 그저 이 부서로 옮겨져 억지로 1.2급 시험을 봐야 하는 공무원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그야말로 제도 자체가 어불성설이지 않습니까?

宋 敏 晙님의 댓글

  언제나 말이 많은 시험이긴 하지요.
굳이 필요가 있을까 싶은데......
꼭 어느 한 곳을 겨냥한 시험이라는 성격이 강한....
  • RSS
전체 13,816건 / 165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86 명
  • 오늘 방문자 3,152 명
  • 어제 방문자 5,626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44,36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5 명
  • 전체 게시물 309,658 개
  • 전체 댓글수 193,41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