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하드디스크에 vsti가 넘처날때 어떻게 하시나요?

페이지 정보

본문

하드를 두개를 구입해서

c 드라이브 ( 기본적인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 )
d 드라이브

g 드라이브 (윈도우 설치 안됨)
h 드라이브 (윈도우 설치 안됨)

이렇게 나눠 사용중입니다

문제는 vsti를 깔면 전부다 c드라이브 프로그램 파일안에 설치가 되서

c드라이브가 금방 꽉차 버리네요..

남는 드라이브가 많은데

나눠서 설치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나머지 드라이브에 윈도우를 또 설치하고 까는게 최선일까요?

현재

c드라이브만 꽉차있고

나머지 드라이브들은 텅텅 비어있는 상태입니다 ㅠㅠ

관련자료

홀리파이어님의 댓글

처음 설치하실때 설치경로 묻는 글이 나오는데, 그때 다른 드라이브를 지정해주시면 됩니다.(그렇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c드라이브에 깔리겠지요^^)

큰일낼것님의 댓글

고용량 정품 vsti가 그렇게 많은신건가요? 와우...

설치하실때 library 경로를 다른 드라이브로 해서 따로 정리하시면 하드를 분배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조건 'next'누르지 마시고 드라이버 설치하는 곳과 라이브러리 설치하는곳을 잘 정리하시면 용이하실 겁니다.

jky님의 댓글

레이드 5면 쉽게 해결되죠...
동일 모델 하드 추가후에 레이드 재구성해주면
데이터는 그대로이면서 용량이 증가되죠.^^;
애시당초 죄다 깔릴껄 감안해서 대용량으로 레이드 구축해서 쓰지만요.^^;
(안정성 면이나 퍼포먼스 면에서 워낙 월등하니..)

soundmaker님의 댓글

레이디를 다시 재설정하면 데이터가 다 날라가던데.... 어떤 레이드를 추가해도 데이터 보존이 되는지요?
  혹시 제품군을 알려 주시면 참조하고 싶습니다.

최범석님의 댓글

레이드 5가 퍼포먼스는 인정해도 안정성도 괜찮은가요?

레이드로 묶은 하드중 1개가 뻑이나도 꼬여버리는 상황이 될까봐 아예 관심 끄고 있었는데요.

저도 레이드 관련해서 jky님 의견이 궁금합니다.

구름의망각님의 댓글

레이드 정말 좋습니다!
뻑 나는게 두려울 뿐~허나 2년 이상 쓰고 있지만
한번도 그런적은 없습죠!

저 같은 경우는
OS : SSD하드
프로젝트 하드 : 랩터36G*4 레이드 "0"
샘플라이브러리 : 320G*4 레이드 "5"
...
이렇게 쓰고 있는데 아주 좋습니다!

그리고,
레이드5는 하드중 1개가 뻑이나도 나머지 하드에서
복구 할 수 있는 정보가 있기에 쉽게 복구가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레이드 0 으로 묶은 프로젝트 하드는 항상 백업을 해 두면
그리 큰 걱정은 없을 겁니다!

제 PC를 기준으로..속도면에서 보자면
OS(SSD) : 초당 95~125 Mb 정도 나오구요
프로젝트(랩터36G*4 레이드"0") : 초당 135~190Mb 정도 나오네요
레이드5로 사용 중인 샘플하드는 아직 테스트를 못해 봤습니다!
무엇보다
SSD속도가 장난이 아닌데요~
조만간 SSD4개를 레이드0으로 묶어볼까 생각 중입니다!
대역폭도 확보해야하기에 최소 PCIe-4배속 이상의 카드를 구입해야 하는데
가격이 만만치가 앖네요...ㅜㅜ, SSD값도 그렇고...하하!

최범석님의 댓글의 댓글

OS : SSD하드
프로젝트 하드 : 랩터36G*4 레이드 "0"
샘플라이브러리 : 320G*4 레이드 "5" ...................... 멋지십니다~

SSD 4개를 묶는다면 엄청나겠군요.
안정성에서 큰 문제가 없으시다니 급관심이 가는 세팅입니다. 그동안 줄곧 레이드는 불안에 떨기만했죠.

그런데 랩터*4 면 소음은 어느정도가 될까요? 이것 역시 두려운 문제네요. ㅎㅎ ^^;;

구름의망각님의 댓글의 댓글

제 작업방에
따로 머신룸을 만들 상황이 아닌 관계로
기존의 벽장을 개조해서 그 안에 넣어 버렸습니다!

결과는 대 만족입니다!하하~

SSD?!
정말 맘이 갑니다!

지금도 충분하지만
그저 궁금한 맘에서 말이죠~
과연 어느정도의 속도가 나올까 라는...

그래도 예전에 비하면 가격이 많이 착해졌죠~프리징 현상도 없고...

jky님의 댓글

후얼 그사이 리플이 일케 달렸을 줄이야.
레이드 레벨 0는 솔직히 추천하진 않습니다.
(실제로도 레이드 구성요소일뿐 레이드로는 안쳐줍니다. 레이드의 중요한 기능인 복구기능이 없기때문이죠.
단순 퍼포먼스를 늘려줄 요소중의 하나일뿐입니다. 그래서 "0"이라고 부르는겁니다.
실제 레이드라고 부를수 있는 레벨은 "1"입니다.)

따라서 레이드 구축해서 데이터 날렸다고 하는 분들은 실제 레이드라 부를수 없는 레벨"0"로 구성해서 쓰시다
날린경우가 되겠습니다. (솔직히 그런분들 레이드 개념부터 새로 공부하라고 하고싶을 정도입니다.)

레이드 1이나 10 등등은 가격대 성능비로는 조금 후달립니다. 아무래도 용량대비 투입될 하드 물량이 넘 많기 때문이죠..

그래서 절충+발전된게 레이드 "5"와 "6"입니다.
문젠 하이앤드 레이드 카드 아닌이상 레이드 "6"은 거의 지원하지 않으니 제일 이상적인것은 "5"가 되겠죠.

저도 메인 OS하드는 후지쯔 147기가(15krpm) 3개 레이드 5 구축
작업하드는 시게이트 치타 300기가(15krpm) 3개 레이드 5 구축
자동 백본용으로 웬디 렙터150기가(1krpm)3개 레이드 5구축 환경입니다.
(자동으로 증분백업해주도록 세팅.)
레이드 카드는 아답텍 sas 16ch 레이드고요.

몇년이나 이렇게 세팅해서 작업 데이터 날린적 한번도 없습니다.

퍼포먼스는 SSD를 제외한 하드 부분에선 타의 추종을 불허하죠...
CPU한단계 업글하느니 하드 레이드 구성하는게 체감에선 더욱 빠릅니다.
특히나 셈플데이터 위주로 쓰는 분들은 더더욱 체감하실껍니다.
(간단하게 4GB복사하는데 1분도 안걸린다면 경악할수밖에 없죠..)

SSD는 전체용량의 1/2정도만 채워쓴다면 베스트겠으나... 사실상 이럴릴은 없죠..
거의 꽉꽉채워쓰는 인간의 심리땜시.. 일케되면 OS용으론 오래 못씁니다.

실제 일케 세팅해줬다가 1년도 못버티고 셀 다 나가더만요.
(OS특성상 윈7이면 모를까 XP는 가상메모리 스와핑하다 볼짱다보니.)
웨어레벨링 기술 자체가 비어있는 용량에서 바꿔먹기 하는것이지 전체용량을 갈아엎는게 아니다보니..
결국 거의 다채워쓰면 채워진 데이터부분은 재기록을 하지않거든요.
(한마디로 100만회 보장이라도 1기가 정도 비어진 용량이라면 그안에서 100만번 재기록이야 우습죠... 쿨럭..)
SSD는 퍼포먼스는 좋으나 아직 해결해야할 문제점이 있다보니 저는 되려 꺼려지더군요.^^;
(물론 앞으로 기술이 조금 더 발전하면 HDD는 퇴출될것은 누구나 인정하고 자명한 일인데..
현시점에선 아직은 아니란겁니다.^^;)

이상입니다.

결론은?? 현시점에선 일반하드 레이드5가 가격대 성능비+안정성측면에서 베스트입니다.^^;

최범석님의 댓글의 댓글

헉 그분이 마구마구 오십니다. 정말 펌프질을 받는군요 ^^

데이터의 재기록부분에관한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채워진 부분은 재기록을 하지않는것이군요...
메인 OS용 하드용량이 엄청나시네요. 저는 딱히 작업용외에는 쓰지않는지라 OS 하드는 74G 밖에 되지않습니다만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구름의망각님께선 벽장안에 넣으셨다는데. jky님은 팬소음을 어떻게 퍼리하셨나요?

팬소음만 해결된다면 다가올 64비트 업그레이드때 모두 한번 뒤집어 엎어볼만 하다고 느껴집니다.^^
  • RSS
전체 13,806건 / 37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32(1) 명
  • 오늘 방문자 4,350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3,972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392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