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삽질을 위하여..

페이지 정보

본문

제 직업은 흔히 노가다라고 불리우는 A.P.T 형틀 목수입니다.
먹고 살기 위한 직업을 머리 안쓰고 맘 편한 육체노동으로 선택했지만, 항상 저 자신은 노래하는 가수라고 자기위안을 하며 살아갑니다.

이번에 정말 노가다성 삽질을 하고 있어서.. 도움을 받을수 있을까 해서 글 올립니다.

홈레코딩, 녹음부스가 없는 작은 방에서의 녹음은 잡음과의 신경전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제 방은 세평이 약간 넘는 아주 작은 방입니다.
컴퓨터의 소음과 윗집 아랫집의 생활 소음, 계란장사 아저씨의 마이크 소리까지 다양한 소음이 존재하는데다 마이크는 MG930을 사용합니다.
다른 아웃보드들은 없고, 01v96을 컨버터겸 믹서로 사용하고 있구요.

마이크 프리와 컴프레서를 생각하고 있다가 아무래도 컴퓨터를 먼저 바꾸자 싶어서 무소음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작정하고 한달 봉급을 다 털어 넣었습니다.
Core 2 Quad Q6600과 Asus P5K-E, 2GB Hynix RAM, 잘만 레저레이터 XT, Asus PanLess 8600 512MB VGA 등으로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대략 160만이 조금 넘게 들어가네요(삽질을 하는동안 들어간 추가금액은 제외하고 말입니다.)
Rapter 740ADFD를 두개 넣어서 RAID0을 구성하려고 맘 먹었는데.. 이게 생각보다 어렵네요.
제가 아는 방법 모두를 동원해 보았습니다만, 아쉽게도 레이드 구성이 되질 않고 있습니다.

P5K-E의 ICH9R 칩셋으로 RAID 를 구성하려고 해보아도..묵묵부답.
보드에 내장된 JMicron의 레이드 칩셋은 외장 사타만 지원하므로 패스.
일단 플로피 드라이브 인식부터 속을 썩혀서 아예 윈도우 설치 씨디에 OEM으로 레이드 드라이버를 삽입해서 자동설치 옵션을 걸어줘도 인식을 못하고 블루스크린이 떠버립니다.

이번달 사용할수 있는 모든 자원을 통털어서 써버려서 아무래도 다음달에 쓸만한 사타 레이드 카드를 구입해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E-IDE RAID 카드는 석장이나 있습니다 ㅡ..ㅡ)
혹시 아수스 계열의, 특히 P5K 계열의 보드 내장 사우스 브릿지로 레이드 구성 성공하신 분이 있으면 도움말 부탁드리겠습니다.

2003 스탠다드로는 레이드 구성을 성공했습니다.
퍼포먼스에서 XP에 비해 체감성능이 느리고, 누엔도 락 시뮬레이터가 돌아가지 않는다는(죄송합니다) 이유 때문에 XP를 재선택할수밖에 없었습니다.

부디 고수님들의 고견 기다랍니다.

회원서명

SIGNATURE

시골서 농사 짓습니다.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강인성님의 댓글

http://support.asus.com/download/download.aspx?SLanguage=ko-kr

링크를 따라가셔서 모델을 찾아보시면 win xp에 Intel(R) Matrix Storage Manager Driver V7.5.0.1017 for Windows 2000/XP/2003 & 64bit XP/2003/ Vista/ 64bit Vista. 라는 드라이버가 있습니다.
이것을 먼저 다운받으시구요, 부팅할 때 delete키를 눌러 cmos 화면에 들어가서 sata 항목을 레이드가 가능하게 설정을 바꿔놓으시고 리부팅하시면 새드라이버 검색을 할겁니다. 그 때 다운받으신 드라이버를 인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레이드 구성은 0보다는 0+1로 하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0의 구성은 속도 향상은 미미한데 비해 하드가 에러났을 때 데이터를 복구할 방법이 없습니다. 하드 2개를 1개처럼 써야해서 가격대가 올라가지만,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커다란 메리트가 있거든요.

jky님의 댓글

딱 저것과 비슷한 사양으로 아는형님 PC 1대 맞춰드려서 지금 세팅중입니다.

우선 ... 몇가지 전제가 필요합니다.
1.보드 바이오스에서 인텔 내장 SATA설정을 레이드로 하셔야합니다.
2.위 1번을 설정했을경우 부팅할때 인텔 내장레이드를 설정할수있는 화면이 포스팅됩니다.
(기억엔 Ctrl+I로 레이드 설정을 할수 있는걸로... 지금 세팅중이라 리붓해서 자세히 보진 못하겠네요.^^;)
3.레이드 설정을 마친 후 리붓한다음 바이오스에서 부팅하드로 인텔 레이드 볼륨 0가 제대로 잡히는지 확인하세요.
(안나온다면 위 1번부터 다시 하세요.)
4.위 3번이 확인 되었다면 아래 2가지로 나뉩니다. (제일 중요합니다.)

5-1. 기존 OS하드가 따로 존재합니다. 그걸로 부팅을하고 싶습니다.
=>답없습니다. 인텔칩셋에서 레이드 모드로 맞추셨다면 일반 하드는 인식은 하나 실제 레이드 드라이버가 없기때문에
부팅중 블루스크린 내뱉고 뻗어버립니다. 물론 바이오스에서 레이드모드를 해제하고 IDE로 바꾸면 또 멀쩡히 부팅됩니다.

5-2. 레이드 구축한것에 OS를 설치하고 싶습니다.
=>윈도우 설치 시작할때 첫 파란화면에서 F6을 연타하여 레이드 드라이버를 별도 설치 해주셔야합니다.
(물론 레이드 드라이버는 플로피에 미리 담아놔야합니다.) 안그러면 하드를 못찾습니다.
다음으로 설치중 블루스크린을 보는경우가 있는데... 이경우는 윈도우 CD 문제입니다.
정품 윈도우 CD면 문제가 없지만 SP포함버전이나 레이드 드라이버 내장 버전 등의 (일명 어둠의 루트에 돌아다니는 6in-1같은 녀석들...) 윈도우 CD라면 설추중 iostor.sys(맞나?)파일을 못찾는다며 게기기 시작합니다. 무시하면서 넘어가다간 블루스크린만 구경하실껍니다.

이상입니다. 그외의 상황은 별로 겪어보질 못했네요.

이번에 인텔내장레이드를 처음 구축해봤는데..
한마디로 욕나옵니다. 호환성 제롭니다.

여기서 말하는 호환성이란.. 다른 레이드 카드간의 호환성입니다.
즉, 하이포인트나 아레카나 AMCC 아답텍 등에서 설정한 레이드세팅은 다른 레이드 카드로 하드를 이전해도
그대로 레이드 잡힌채로 인식하는데... (심지어 엔비디아 내장 레이드도 마찬가지입니다.)
인텔 내장레이드는 다른 레이드로 하드를이동시키면 그냥 먹통입니다. 레이드 풀려버리죠..

절대 비추천하고 싶습니다만... 자금이 후달린다면 어쩔 여지가 없겠죠...
(갠적으론 적어도 하이포인트 PCI-e방식의 SATA2 레이드 카드라도 구입하시라고 권하고 싶지만..)

그래고 레이드레벨의 경우 윗분 말씀처럼 0은 추천하지 않습니다만..

이것도 몇가지 전제를 붙일수가 있습니다.

1.OS및 부팅전용 하드이다.
=> 레이드 0 추천합니다. 속도가 빠르니까요. 다만 OS하드를 기본세팅 완료 후 백업하셔야 합니다.
일반하드 1개를 추가하여 트루이미지로 OS하드 통채로 클론하시면 됩니다.
그후 OS가 꼬였거나 레이드가 날라가거나 하면 클론시킨하드로 부팅해서 복구하시면됩니다.
(OS하드는 경험상 레이드 1이나 레이드 10 레이드 5는 추천하기 꺼려지는군요.
이유가 OS가 꼬여버렸는데 이노무 레이드가 리부팅하면서 자꾸 꼬인채로 복구해버리더군요. 쿨럭..
실제 제 경험담입니다. 그래서 OS가 꼬였을땐 레이드 복구도 사실의미가 없습니다.
그냥 초기 완벽세팅+최적화 한 다음 여분 하드 1개로 트루이미지로 하드 클론해버리는 방법이 제일이더군요.^^;)

2.데이터 및 저장안정성이 중요한 하드이다.
=>레이드 5를 추천합니다. 레이드 10과 비교해봐도 훨씬 저에겐 강력한 인상을 남겨주더군요.
어차피 실제 레이드 10이랑 비교해도 하드 1개 이상 물리적인 고장엔 대처방법이 없긴 매한가지입니다.
그럼 하드 1개라도 더 줄일 수 있는 레이드 5가 이득입니다. 실제 용량대비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월등합니다.
*레이드 10 = 최소 필요하드 4개이상 실제 사용가능한 용량은 총하드 용량의 1/2
*레이드 5 = 최소 필요하드 3개이상 실제 사용가능한 용량은 총하드 용량의 70%
또한 복구능력도 레이드 10보다 오히려 월등한 측면이 있더군요.
물론 이것또한 실제 경험입니다.

현재 1호/2호/3호 다합쳐서 레이드 구축한것만 대략 10테라가 조금 넘네요.^^;
물론 OS전용하드는 레이드 0구축한다음 여분하드로 OS하드 통채로 클론시켜놓고 대비해놓았고
데이터 전용 하드는 레이드 5 구축해서 아주 안정적으로 잘쓰고 있습니다.

아는형님의 사양도 이렇게 구축했습니다.
OS 용도 = 렙터 2마리 레이드 0 / 하드 클론용 300기가 일반하드 1개 <== 요건 핫스왑으로 뺐다 끼웠다 가능하게..
데이터 용도 = 시게이트 500기가 3개 레이드 5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저 또한 삽질파라... 대략 저거 알아내는대만도 눈물과 땀의 나날을 보냈습죠...)

jky님의 댓글

추가로 덧붙여서...
레이드 5를 구축하고도 불안하시다면 USB외장 하드같은거 하나 구입하셔서

아래의 s/w를 연동해서 시간주기별로 백업하시면 뭐 철통방어입니다.

http://www.eunicorn.co.kr/kimsboard7/bbs.php?table=unicorn_data&query=view&uid=308&p=1

저도 우연히 저한테 메일이 날라와서 호기심에 해보니 좋더군요.(저회사 제품을 예전에 쓴적이 있어서..)
일단 공짜프로그램이고 윈도우 2003까진 완벽동작 되는걸 확인했고 또 좋더군요~ ^^;

특히나 원하는 폴더단위로 백업이 가능해서 진짜 중요한 작업데이터들을 백업설정해서 사용하시면 아주 좋습니다.

뭐 한마디로 USB 외장하드가 NAS스토리지 같은 기능을 하게 되는것이죠.^^:

김경수님의 댓글

강인성님, jky님 감사합니다.

저도 십여년 컴퓨터 일을 했던 관계로 대충 제가 아는 방법은 다 사용했습니다.
후배녀석 플로피 드라이브까지 떼어왔는데도.. 역시 안 되는군요.

사타 레이드 카드를 하나 다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을 것 같습니다.

하이포인트의 IDE 레이드 카드는 예전에 써봐서 상당히 좋은 결과를 보았습니다.
일단, 메인시스템의 레이드는 포기하고 다음달까지 대충 써야겠네요.

랩터의 가격이 너무 비싸서 Raid 0+1 로 하기엔 무리가 많이 따릅니다.
대신 500기가짜리 WD 500aaks를 하나 구입했어요.

전에 jky님이 추천하셨던 어크로니스 트루 이미지로 부지런히 백업하는 것만이 살길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압축 이미지로 백업 할경우 여러가지 옵션이 존재하는데 특히 매번 완전 백업을 하는 것이 아닌 증감백업이 가능합니다.
새로 바뀐 내용만 추가백업하는 것이죠.
물론 프로그램을 삭제하거나 해서 내용이 줄어들었을 경우도 가능합니다.
백업하거나 복구할때마다 재부팅해서 IDE 호환모드로 CMOS를 재조정할 일도 없고, 트루이미지 너무 좋습니다.
고스트는 사타를 제대로 인식 못하고 엄청 귀찮아서 이젠 쳐다도 안 봅니다.

쓰다가 떼어놓은 IDE HDD들을 몽땅 모아서 서브 시스템에 달았습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스트라이프 볼륨을 만들어 놓았던 300기가짜리 하드 두개, 무리없이 인식이 되네요.
잡다한 것들 속에서 골라놓은 야동이 담긴 HDD가 있네요. 하하하.
모처럼 추억의 포르노 스타들을 볼수 있겠네요.
  • RSS
전체 13,806건 / 38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85 명
  • 오늘 방문자 2,199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5,48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662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