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3번째 개정판을 쓰다가..

페이지 정보

본문

많이 추가하고 바꾸고 그러고 있는데,  그중 하나 소개해야 할 것 같군요.  예전의 책 가지고 있는 분은 비교해도 되고..

기술의 발달로 이 기존의 믹싱콘솔의 개념도 변한다. 그리고 예전처럼 공연(Sound Reinforcement)과 녹음(Recording)의 두 가지 용도로만 구분하기 에는 너무나 멀티플레이어 역할을 톡톡히 하는 콘솔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냥 일반적으로 공연용이라고 말하는 라이브콘솔(Live Console)은 입력, 출력, 억스(Aux)의 세 부분의 기본 구조를 갖고 있는데 반해, 녹음용은 기본 구조에 모니터를 추가한 네 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다.

다르게 콘솔을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나로그 콘솔과 디지털로 구분헤야 하는것이 그것인데, 디지털 콘솔은 전형적인 아나로그콘솔의 설계 방법인 신호가 흐르는 실제 회로를 설계하고 연결했던 방법에서 디지털로 변환한 후 그것을 처리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그것을 원하는데로 처리할 수 있게 만드는 프로그램,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하드웨어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조작부로 나누게 된다. 


이미 이번호 믹스에는 편집장인 조지 페터슨이 새 콘솔 디자인은 "It's All About Control" 이라는 예전 콘솔의 개념은 없어질 것이라 예측했다. 누구나 다 알고 있을 것 같은 이야기 이지만, 콘솔이 아닌 콘솔의 모습도 볼것이고, 이미 보고 있고, 진공관이나 아주 고급의 아나로그 회로들만 살아 남고-이건 당분간 디지털이 해결 못할 것이기에- PM5D를 리뷰하면서 썼던 것 처럼, 이미 대세는 레이스걸 이 모양이 아닌 디지털로 흘렀다는것은 무시 못할 것이다.  500만원대의 베니스의 프리도 멋지지만, 그 가격대의 디지털 콘솔에서 가능한 무지막지한 기능의 장점에 얼마나 더 아나로그 마니아의 존심을 지킬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나는 어떤 방향으로 책을 써가야 하는지..^^

관련자료

손창훈님의 댓글

  그래도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대세는 레이싱걸 이 모 양이 맞다고 생각 합니다 ....... .........아.........^^;;
계속해서 공부하시는 모습.....존경스럽습니다  제가 처음 선생님께서 쓰신 책을 구입한 지가 얼마나 흘렀는지도 모르는데......^^

장호준님의 댓글

  와, 8년사이에 이렇게 많이 변했다니.. 그냥 사용하고 지나가던것을 정리해보니 완전 대공사가 되는것 같네요.  주변기기에 플러그 인이 설명되어야 하고...
  • RSS
전체 110건 / 4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827 명
  • 오늘 방문자 3,754 명
  • 어제 방문자 5,626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44,970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5 명
  • 전체 게시물 309,797 개
  • 전체 댓글수 193,41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