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귀가 들리지 않아도 음향일을 할수 있나요?

페이지 정보

본문

음악 레코딩과 공연장에서 음향 담당하는 일을 하고 싶어요.
그래서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하려합니다만,
왼쪽 귀가 들리지 않습니다. 청력이 없어요.

아무래도 핸디캡이 될거라는 생각은 하는데
이것이 일을 할수 없을정도의 문제인지가 궁금합니다.

(음향진로 게시판에 글을 썼었는데 아무래도 주중이라 많이들 바쁘신지 아니면 자유게시판보다는 보지 않으셔서인지 답을 얻을수 없어서 자유게시판에도 글을 쓰게됐습니다.)

관련자료

거북님의 댓글

잘 들리지 않는다면 계속 듣는 훈련으로 심적인 발란스를 어렵게나마 맞출 수 있습니다.
가령, 다른 사람들이 듣는 것과 달리 먹먹하게 로우패스 필터 건 것 처럼 들어온 소리를 뇌가 해석 할 때에 고음에 부스트를 걸도록 훈련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한쪽에 아예 청력이 없다면 스테레오 이미지나 공간감의 표현 능력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듯 합니다.

문곰님의 댓글의 댓글

한쪽이 전혀 청력이 없는 상태예요.

헤드폰 같은걸 쓰고서 스테레오로 음악을 들을 수 있다면 좋겠네요. ㅎ;
그런데 스피커로 듣는 음악과 헤드폰을 착용하고 듣는 음악의 느낌이 많이 다른지도 궁금하더라구요. (스테레오나 공간감 적인 부분으로요..)

2채널 스피커를 다 제 오른편에 놔두고 오른쪽 귀로만 듣는거랑 앞에 놓고서 양쪽 귀로 듣는거랑은 어떻게 다른지 느껴보고도 싶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feeldrum님의 댓글

제목이 눈에 확 들어오네요..

제 이야기는 아니지만, 친형님이 베이스세션 이시고, 또한 음반 프로듀서로서 활동하고 계십니다.
현재 녹음실도 운영하고 계시구요.
우리 친형님도 어렸을 때 부터 만성중이염을 앓아서, 현재는 왼쪽 귀가 거의?? 들리지 않습니다.

그런데... 저희 형님은 정말 놀라울 정도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비지니스 적인 부분에서 지인들과의 대인관계도 있고, 여러가지 부분들이 있겠지만,
결국에는 음악적인 실력이 뒷받침 되어야 같이 일할 수 있겠지요..)

그러니, 포기하지 마시고, 희망을 가지세요~
님의 밝은 미래를 기대합니다. ^^
화이팅!

ghost님의 댓글

손이 없으나 그림을 그리는사람이 있습니다...발이나 입으로 말이죠...

그런데 이런말을 제가할수있는것은 그것을 실현시킨사람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쪽 귀가 들리지 않는데 음향일을 한다? 모르겠습니다...이런사람을 본적도 들은적도 없어서입니다..

양쪽다 정상적인 청력일지라도 음향일을 프로로 하고자한다면 많은 훈련이 필요합니다

프로일지라도 그날의 컨디션이나 아주작은 변화,,날씨등등에 영향받아 같은소리가 다르게 들리는것이

현실입니다.. 

한쪽귀가 들리지 않는다면 이러한 스트레스는 더클것이라 예상됩니다..

기술이 더발전해 컴퓨터 프로그램의해서만 사운드를 완전히분석해 인간의 귀가 필요치 않는시대가

올수도 있고 생명공학 기술이 더좋아져 님의 귀를 완전하게 복구할수도 있을것입니다..

또 예상치못한 변수는 얼마든지 존재하고 있습니다..

제일중요한것은 스스로 부딧혀보고 답을 얻는것이라 생각됩니다...

입이나 발로 붓을가지고 그림을 그리는사람들이 누군가에게 과연 물어보고 그일을 시작했을까요?

스스로 먼저 부딧혀보고 답을 구했을것입니다...그리고 "할수있다" 라는 결론을 얻은 것입니다..

님의 질문에 대한 가장 정확한 답을 얻을수있는것은 님자신입니다...

문곰님의 댓글의 댓글

네. 답변 감사합니다.

다른 한 분야를 파다가 방향 전환을 하게 되다보니 현실적인 문제들이 많이 보이는게 사실입니다.

자신감 부족, 용기 부족인듯도 합니다.

저 자신을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눈이 보이지 않는데 사진 작가 일을 한다는 사람도 신문가사를 통해 보았습니다. 여태 살면서 본 유일한 한명이죠.

저도 그런 유일하거나 흔치 않은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자신감 같은건 사실.. 없네요. ㅎ;

그래도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esusReigns님의 댓글의 댓글

저는 한 쪽 귀만으로 음향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음향 분야는 넓으니까요..
하지만.... 자신을 특별하다 생각하시는 것이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해보네요.

두 귀를 가진 사람이 음향에 접근하는 방법으로는 접근하실 수 없습니다.
독자적인 방법을 찾아내셔야 하죠.. 아마도 나름대로의 기기를 설계하고 만들어내는 정도의
수고와 집념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스테레오 이미지를 들으실 수는 없겠지만 그걸 보이게
만드는 노력이 있다면... 그리고 성공한다면...? 자신이 그렇게 할 정도의 열정을 가진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일의 현실화 여부에 상관 없이 음향일을 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또 거꿀로 보면 두 귀를 가진 사람이 쉽게 찾아낼 수 없는 것을
알아챌 수도 있다고도 생각해봅니다.

특별한게 별건가요.. 남과 다른 것이 특별한 것이죠.
사람은 모두 특별합니다. 같은 사람은 없기에...

누구에게나 하나님이 선물로 주신것이 있습니다. 그걸 발견하고 소중히 여길 줄 알면 누구나
그야말로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입니다.. 그리고.. 사실, 예수믿고 다시 듣게 된 사람들도 있습니다.
더 얘기하고 싶지만.. 그냥 여기까지..

미루님의 댓글

조심스러운 말씀이지만 아마도 믹싱이나 마스터링쪽은 힘드시겠지만, 스테레오이미지와 공간감보다, 모노로써의 소스를 더 많이 접하는 분야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보컬 레코딩 같은 경우는 사실 레코딩할때 공간계 이펙터를 걸어놓고 하거나, 스테레오로 녹음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는 않으니까.. 뭔가 모두가 생각하지 못한 어떤 틈새가 존재할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예전에 공부할때, 사람이 한쪽 눈이 많이 안좋으면 다른쪽 눈의 시력도 약화되기 쉽듯이,
귀도 피로에 대한 민감도가 좀 높아질 수 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관리 잘 하시면서 노력하시면 반드시 좋은기회가 올거라고 믿습니다. ^^

문곰님의 댓글의 댓글

아직은 뱃속에 잉태된 상태라서 말씀해주신 부분에 대한 개념은 잘 안잡히네요. ㅎ;

걸음마를 떼고 배워가면서 많이 생각해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waterberry님의 댓글

경험이 없어서 딱히 뭐라고 해드릴 말씀은 없습니다만...한쪽 귀에 문제가 있는 사람 한명이 생각이 나네요.
마커스밀러. 세계적인 베이시스트 겸 프로듀서인 그도 오른쪽 귀가 안들리는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근래 자신의 음반들은 직접 믹스도 하고 프로듀싱도 잘 하고 그렇더군요..
핸디캡은 되겠습니다만 뭐든 안되는건 있겠습니까..

문곰님의 댓글의 댓글

feeldrum 님이 말씀해주신 분과 비슷한 경우네요.
베이스에 무언가 있는걸까요? ㅎ;

내일에 대한 두려움만 이겨내면 뭐든 되겠지요?
답변 감사합니다.

soundmaker님의 댓글

귀가 안 들리면 글쎄요~  아무래도 한계점에 이르면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정말 베토벤같은 천재빼놓고는 좀 힘들겠죠...

그리고 이어로직코리아 라는 곳이 있습니다..  아예 죽은 데쓰 청력아니라면 회생의 기회가 있습니다.
치료를 권장하네요~ ^^

문곰님의 댓글의 댓글

어릴적부터 치료에 많은 시간과 돈을 부모님이 투자는 하셨습니다.
포기라는거 안좋긴 하지만 청력 회복에 대한 기대는 이제 없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달콤도봉님의 댓글

제가 힘이 되어드릴만한 좋은 방법을 제시해드릴수 없어서 죄송하네요 하지만..

"천재란 노력을 계속할 수 있는 재능이다."
-에디슨-

천재는 보통사람에 비하여 극히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을 말합니다.
어떤 사람이 천재가 될까요....
에디슨이 말합니다.
노력을 하는 사람이어야 하고,
그 노력을 하다 말고, 하다 말고 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계속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보통 사람도 꾸준히 노력할 수 있는 재능만 키운다면 천재가 된다는 말 입니다.
목표를 향해 치지지 않고, 아니 지치더라고 스스로 동기부여 하고,
스스로 격려하고 다독거리며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은 분명 뭔가를 이룰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천재가 갖춘 재능은 꾸준히 노력할 수 있는 재능입니다.

꿈과 열정있다면 어렵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제생각에 님은 벌써 절반까지 오셨네요
이제 남은 절반의 길과 목표를 위해,,화이팅^^
  • RSS
전체 13,810건 / 40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16(1) 명
  • 오늘 방문자 5,965 명
  • 어제 방문자 6,322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68,537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2 명
  • 전체 회원수 37,550 명
  • 전체 게시물 290,672 개
  • 전체 댓글수 193,398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