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문득 뒤늦게 요즘 들어서 나는 생각들. ㅋㅋ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오디오 가이 가끔 오는데

글 쓰는건  거의 처음인것 같네요 ^^

다름이 아니라  항상 대중 음악이나 팝만 듣다가

이번 학교 교양 강좌에 서양음악의 이해라는 과목이 있길래
평소 혼자 접하기는 힘들었던 그래서  듣다가 졸려?서 포기한
클래식을  음악을  당신 사회 현상이랑 뭐......주욱 해서
가르치는 과목인데요..


이 녹음 기술과  건축 음향 기술 .. 이런 음향과 관련된 거의 모든
건  그냥 저만의 생각인데  서양 특유의 문화와  클래식 음악에서 온 것 같은
느낌이 부쩍 드네요 ..

클래식 음악을  자세히 들어보니  믹싱은 그 자체가 환상이더라구요.
몇 백년 이어온  클래식 음악 문화가 있는데  음향 기술 의 발전은
당연하다는 생각이 부쩍 드네요 ㅋㅋㅋ

웬지  클래식에 푹 빠질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
이러다 바일올린 배운다는 건 아닌지/.~~

그리고 누구나 다 알만한 클래식 앨범 하나만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녹음 잘 된거면 더욱 좋구요 ㅋㅋ^^
 





관련자료

송재근님의 댓글

  바이올린 쪽으로 먼저 들어가시려면, 낭만주의 시대의 협주곡이나 소품 등으로 시작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협주곡은 3대 협주곡이라고 해서 차이코프스키, 멘델스존, 베토벤 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유명합니다. 이 곡들은 바이올린 협주곡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곡들로 정말 수많은 레이블의 무수한 연주자들의 앨범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정경화가 연주한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런던심포니 오케스트라, 앙드레 프레빈 지휘, DECCA 발매) 을 추천합니다.

또한, 클래식에 처음 입문 하시는 분들이 많이 찾으시는 곡들로 바하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 파르티타 와 바하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이 있습니다. 이 또한 시중 레코드 샵의 클래식 부스에 많은 연주자의 앨범이 나와 있습니다. 이 중에서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 파르티타 는 DG(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발매된 헨릭 셰링 이라는 연주자의 연주를 추천합니다.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미샤 마이스키, 로스트로포비치, 요요마 등의 연주를 손꼽을 수 있는데요. 이 중에서 요요마의 연주를 가장 정석적이라고 합니다. CBS RECORDS 에서 발매되었습니다.

제가 추천하는 이 음반들은 대부분 아날로그 레코딩이거나 디지털 레코딩의 초창기 시절에 발매 된, 10년 이상 된 앨범들입니다. 이런 앨범들을 추천하는 이유로는, 요즘 출시되는 앨범들은 과도하게 잘라 붙이기를 한 나머지, 매끄럽기만 하고 자연스러움이 떨어지는 이유가 있고요. 제가 추천한 연주자들 이상의 기량을 가진 연주자가 최근에는 잘 나오지 않는 이유도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추천한 음반들은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꾸준하게 팔리며 어느 정도 검증이 되었다고 생각되기에 추천합니다.

그리고 저는 엔지니어 계통이 아니기 때문에, 믹싱의 상태나 음향 기술적인 측면을 생각해서 음반을 추천한 것이 아니라, 연주자의 연주를 위주로 추천한 것임을 말씀드립니다. ^^;

또 궁금하신 것 있으시면... <a href=mailto:wormsdk@hanmail.net>wormsdk@hanmail.net</a> 으로 메일 주셔도 됩니다. ^^;

운영자님의 댓글

  영자의 회사가 주로 클래식 음악의 레코딩을 하는 일을 하고 있으니.

세종문화회관에 들리실 일 있으시면 한번 들리시지요.

세종문화회관 분수대 근처랍니다.

한상희님의 댓글

  와~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 잘은 모르지만 정말 클래식 참 좋네요 ^^
세종 문화회관  근처 갈일 있으면 꼭 드리겠습니다 ~^^
  • RSS
전체 13,810건 / 42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23 명
  • 오늘 방문자 4,767 명
  • 어제 방문자 6,322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47,626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7 명
  • 전체 게시물 286,269 개
  • 전체 댓글수 193,397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