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미국에서는 음반제작에 있어서 DDP가 대중화 되었나요?

페이지 정보

본문

오디오가이 내에 외국에서 활동하시는 엔지니어분들 많이 계셔서 질문드립니다

오늘 우연히 일본의 오디오관련 사이트의 연재글을 번역기 통해서보다가
이제 공장에서 CD 프레스를 위한 프리마스터를 예전의 U-matic 나 CD-R 로
하는 시대가 끝나가고 있고 미국에서는 이제
DDP ( Disc Description Protocol ) 라는 새로운 방식이 메이저 레코드사를
중심으로 이미 많이 전환되고 있는중이란게 대강의 내용이었는데요

그외에 샘플리튜드의 시퀘이아 9을 이용하여 DDP 포맷을 만드는 내용등도 같이
다루고 있더군요

하여간 기존의 CD-R 이나 U-matic 같은경우 미디어의 특성이나 레코더 특성과
기타 물리적인 환경들에 의하여 열화나 변형의 요소가 많아 다소 불안정한부분을 감수하여야했는데
이제 디지털 파일 형태인 DDP 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는게 주요 골자이구요 (그밖에도 많은 중요한 내용이있습니다만 제 지식이 딸려서;;;)

저야 완전 초보자인지라 자세한 내용은 파악이안되고
한국의 스튜디오 실정도 잘모르지만
아직 한국에서는 이 DDP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가 극히 드문것같습니다만...

기사에는 미국같은경우 메이저 레코드사나 스튜디오를 같은경우
이제 널리사용되고있고 일본도 역시 메이저 중심으로 많이 보급되었다는데..
실제로 미국이나 일본쪽에 계신 엔지니어분들께서 보시기에도
DDP 가 많이 대중화 되고 있는가 궁금하네요

관련자료

남상욱님의 댓글

네. 많이 대중화 되었습니다. 음반사에 따라 좀 다르지만 50:50 으로 PMCD와 DDPi가 사용되는 것 같네요.
그리고 정확한 용어는 DDP가 아니고 DDPi입니다. 예전 부터 DDP는 Exabyte tape에 수록되어 사용되었던 매스터 포맷이구요. DDPi는 그놈은 테입이 아니라 이미지 파일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겠습니다만, DDPi는 음질적 이유보다 편리함과 경제성으로 인해 갈수록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정말 음질을 중요시 여기는 프로젝트의 경우 저희의 경우 PMCD를 사용 1배속으로 mother를 만드는 방법을 여전히 추천하고 있습니다.

이원준님의 댓글

아...오히려 음질쪽보단 편리함과 경제성이 DDPi 의 주된 장점인가보군요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 RSS
전체 13,806건 / 425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62 명
  • 오늘 방문자 3,414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3,03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257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