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여기에 이런글 올려도 되나요;;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입시 보는 고3입니다..
음. 이제 20살이죠..^^;
너무 궁금한데.. 어디에 글을 올려야할지 고민하다가,..
그냥 여기에 올립니다.;

중2떄 우연히 레코딩 엔지니어라는 직업을 알게되었어요.
음향이라는 것에 호기심이 생기면서 앞으로 음향 엔지니어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읽게된 글이 있었습니다.
공대를 졸업한 사람들이 레코딩 엔지니어를 하고 있어
작곡가나 연주자와 교감대가 잘 형성되지 않아 녹음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는 글이였습니다.
그래서 작곡가들이 유학을 통해 엔지니어링을 공부해서 들어와
직접 녹음을 한다는 글이였습니다.

그걸 보면서 음악을 배워두면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에..
그동안 막연하게 가져오던 음악 전공을 시작하였습니다

고1때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 실용 작곡을 하다가
고2때 선생님의 권유로 클래식 작곡으로 바꾸었습니다.

그 동안 아무생각없이 계속 클래식 작곡을 해오다가..
실기 시험 몇일을 앞두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연..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것들이 정말 도움이 될것인가..

대학에 들어가 작곡 공부 한다음에 음향 공부를 시작하는게
더 좋을까??
아님.. 지금부터 음향 공부를 하는게 더 좋을까??

이런 생각에 나름대로 고민을 하다가

동아방송대학을 써보려고 생각중입니다..
주워들은 말로는 방송대학이라 방송음향성격이 강하던데..
자세히들은 다 모르더군요.

저는.. 클래식이 음악이나 재즈 음악을 녹음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질문이 참.. 정리가 잘 않되어있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관련자료

HEADBANG!님의 댓글

  빠를수록 좋겠지만 대학들어가서 해도 괜챦아요... 늦게 입문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ㅋㅋ 그리고, 음악이론 공부도 배워두면 도움 많이 됩니다. ^^ 열심히 하세요.. 일단 음악 닥치는데루 많이 들으세요.. ^^ 이게 젤 중요할듯...ㅋㅋ

장호준님의 댓글

  공대를 졸업한 엔지니어가 얼마나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음향엔지니어링은 공학적인 것이 필수는 아닙니다. 그리고 음악적인 것이 필수인 것도 아니고,

이쪽 방면은 남들과 경쟁을 한다는 것 보다는 자신의 것을 만들어 간다는 마음으로 좀 길게 봐야 합니다. 나이 서른 넘어가서, 실무경력 7-8년 이상 지난 다음, 그때가 뭔가 시작할 단계라는 생각이 들어서 40이나 50을 바라보고 노력하는 엔지니어가 되길 바랍니다.

dgsong님의 댓글

  호준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이제 무언가를 시작하고 싶은데...선뜻 용기가 나질 않네요.

무언가를 행해서 달려가면 끝을 볼 수 있을 것도 같은데 말입니다.

뭐 한참 달려가야겠지만요.

꺽어진 70, 살아온 날 만큼 이제 살날이 남았다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스러운 올 한 해가 될 것 같네요...

감가록님의 댓글

  직업은 꼭 하나여야 되 라는 생각으로 자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대부분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자곡가도 하고 엔지니어도 할 수 있는 거 아닐까요?

승남님의 댓글

  동아방송대학 졸업했습니다. 방송음향 성격이 강하다라는 말에는 잘 모르겠습니다.
기본적인 것부터, 이것저것 본인이 노력하면 든든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작곡과 엔지니어라는 것중에서 고민하시는 것이라면, 이미 작곡을 하고 계시니, 엔지니어를 조금이나마 접해 보시면, 마음이 정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녹음하는데 경력이 중요할 수도 있지만, 숫자로 녹음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성급히 결정하셔서 후회하시는 것보다, 차근차근 단단하게 가는 것이 좋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운영자님의 댓글

  영자는 클래식음악과 재즈음악만을 녹음하고 있습니다만.

지금은 가요음반 작업을 하지 않으니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클래식과 재즈음악의 레코딩엔지니어를 지망하신다면. 처음부터 음향공부를 하시는 것보다는.

먼저 음악공부를 하신 후에 하는 것이 훨씬 더 좋습니다.

독일의 데트몰트 대학의 톤마이스터 과정도 처음 4년은 음악. 그리고 5년째부터 음향을 공부를 하는 것을 보면. 레코딩 엔지니어에게 있어서 음악의 중요성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RSS
전체 13,806건 / 43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22(1) 명
  • 오늘 방문자 1,236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4,525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507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