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질문] SR 시스템의 네트워크 방식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본문

네트워크에 관한 건데요.
최근에 출시된 SR 장비들의 특징이라면 다자간 네트워크의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일텐데요.
믹서/컨트롤러/앰프/스피커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종류를 질문하려고 합니다.
가장 대중적인 이더넷과 코브라넷.. 이외에도 독자적인 규격들이 많이 있는데..
향후에 어느 포맷이 나올지, 또 어디로 대세가 기울지 감이 잘 안잡히네요.

이더사운드와 코브라넷 외에 대중적인 국제규격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혹은 곧 인기를 끌것같은 프로토콜은? ^^

오디오가이 여러분들께 한표를 구합니다~

관련자료

김 용님의 댓글

네트웍오디오는 네트웍으로 콘트롤하는 것과 네트웍으로 오디오를 전송하면서 콘트롤까지 가능한 것이 있습니다.

네트웍으로 오디오를 전송하면서 콘트롤이 가능한 규격으로 또 두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메이커의 전용네트웍으로 사용하여 전용장비(네트웍 스위치 까지)만 사용하는 방식과
또 하나는 양쪽 장비만 전용규격을 사용하고 중간에 사용하는 네트웍 스위치, 광케이블, Cat5케이블 등은 일반 장비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네트웍 시스템이라는게, 자체가 오디오시스템을 이해하는 것 만큼이나 어렵기 때문에 쉽게 설명이 가능하진 않구요...

현재는 자사메이커의 자체방식(타사장비와 호환이 거의 어려움..)과 코브라넷 (타사장비와 완전호환)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많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코브라넷(CobraNet) 은 Peak Audio 사의 규격이며, 이 규격을 각 메이커에서 자사제품에 적용하여 사용되어지고 있음.

Cat5 Cable 100Mbps 로 양방향 20bit 48KHz, 64ch(24bit 48KHz, 56ch) 100M 까지 전송이가능하며,
멀티모드 광케이블(M/M Optic Cable) 2KM 까지 아무런 오디오의 손실없이 전송이 가능합니다.
전송레이턴시는 거리에 상관없이 5.3ms(2.66ms, 1.33ms까지 가능) 이며,
중간에 7개의 네트웍 스위치 까지 사용가능합니다.

단점은 메이커자체방식보다 전송레이턴시가 길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쌉니다.

중요한점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오디오로,
디지털오디오에서 네트웍오디오로 페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장호준님의 댓글

김용님의 글이 좋네요.  한가지 개인적인 의견은 네트워크 오디오라는 정의는 그냥 디지털 오디오의 전송방법 중 하나로만 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나로그와 디지털 이 두가지의 구분 만큼이나 다른 것이 디지털하고 네트워크에 있지 않거든요.

디자이너님의 댓글

지금까지 크게 2가지 신호규격이 대세를 이룬다고 봐야죠...코브라넷과 이더사운드넷...코브라넷은 시러스로직에서 개발권이랑 칩셋이랑 판매하고 있고...이더사운드는 디지그램사가 개발중이고...둘다 모두 훌륭한 디지털 멀티 오디오 전송규격입니다...예전의 비디오 신호 규격인 JVC의 VHS와 Sony의 베타맥스 전쟁을 보는 듯 합니다...일단은 덩치를 키우고 제품라인을 형성시키는게 유리하니깐요...지금까진 코브라가 좀 유리한데...아무래도 미국쪽에서 많이 사용하니깐...단점은 허브를 따로 써야 한다는...일반 이더넷 같이 물리면 패킷 충돌이 생겨 소리가 안납니다...

무대에서 하우스까지 랜케이블 하나면 끝나는 시대가 왔네요....

김 용님의 댓글

코브라넷은 허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네트웍 스위치를 사용하지요.
허브로는 전송이 불가합니다.
경험상 일반적인 네트웍에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사용하는 망에서도 사용시 아무 문제 없습니다.
쌍방향 통신도 가능하구요..
오디오 데이타를 번들(Bundle: 7-8채널) 단위로 송 수신하면 트레픽양은 10-15M(실제 레픽은 8M)정도 됩니다.
100Mbit 네트웍에서 아무 문제되지 않지요...
사용을 위하여 컴파일하면 네트웍에 버츄얼 랜 처럼 터널링을 만들지요. 항상 연결되어 있습니다.
소리나 나든지 안나든지....

디자이너님의 댓글

일반적인 네트워크이나 인트라넷에서 왠만해서는 사용불가능하구요...VLAN으로 갈라주거나 아예 스위칭 허브를 따로 써줘야 합니다... BSS,YAMHA,QSC 등등의 제조회사들 역시 자사 제품의 콘트롤 이더넷과 분리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제가 아는 분 역시 스위칭허브 같이 썼다가 개피 봤다는...
  • RSS
전체 13,810건 / 438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19 명
  • 오늘 방문자 5,753 명
  • 어제 방문자 6,56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55,180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2 명
  • 전체 회원수 37,548 명
  • 전체 게시물 287,632 개
  • 전체 댓글수 193,397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