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질문] 칼럼스피커의 연결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본문

자유게시판에만 글쓰기가 가능해 여기에 글을 올립니다 ^^;;

그동안 계속 검색하며 유익한 정보들을 많이 배웠는데요..

이번에는 오됴가이 분들께 직접적인 도움을 얻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일반 SR 파워 앰프와 칼럼스피커를 연결하려고 하는데요

파워앰프의 출력단은 300W 8옴 출력 이구요 모노 브릿지 모드로 쓰려고 합니다

칼럼스피커는 8옴 알맹이에 매칭트랜스가 달려있고 30W에 330, 660, 1k 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의 개수는 10개입니다.

앰프 +, - 에서 출력해서 첫 번째 스피커에 1k옴, COM (블랙)에 연결했구요 여기서 다른 스피커들이 같이

물려있습니다. (문어발 식으로요)

기존에 이렇게 연결되어 쓰던 스피커에서 케이블 연장하는 작업만 했는데 소리가 나지 않네요..

기존에는 앰프를 9시 방향까지만 열어줘도 소리가 잘 났습니다.

질문1. 70v, 100v 출력단이 없는 SR앰프에서 여러대의 칼럼스피커를 쓰려면 임피던스 값을 어떻게 계산하나요?

질문2. 배선 작업을 할때 직렬, 병렬 연결을 어떻게 해야하나요?

기초적인 질문인 것 같은데... 검색해 봐도 딱히 이해가 되는 자료가 없어 한 번 조언을 구해 보아요 ^^

관련자료

宋 敏 晙님의 댓글

1. 전체 병렬 합이 채널 맥스 임피던스보다 낮으면 문제 없습니다.
    물론 70V, 100V용 앰프를 써 주는게 더 낫겠습니다만....

2. 직렬은 배운대로... 다른 극성끼리 연결
    병렬은 배운대로... 같은 극성끼리 연결

3. 어딘가 쇼트났거나... 매칭 트랜스에 이상이 있거나...
    모노브릿지가 4옴이 아닌 8옴 고정인가보죠?

디자이너님의 댓글

스피커의 1k옴 탭으로 10개를 병렬연결했다면... 전체 스피커 임피던스는 100옴이네요...
이걸 8옴짜리 앰프에다 물리니 당연히 소리가 안나지요...
330옴 탭으로 옮기면 전체 스피커 임피던스는 33옴이 되면서 소리가 쫌 나올겁니다...
암튼간에 스피커 쪽 임피던스가 8옴 이하로 내려가지만 않으면 됩니다...

이론상으로는 똑같은 스피커 40개 까지 병렬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임피던스를 약간은 여유있게 계산해서 앰프를 보호합니다...
최대 40개까지의 스피커라면 몇 개 정도 빼서 32개~36개 정도만 연결합니다...
그러면 임피던스가 10옴 정도로 되면서 과부하로 인한 앰프 사망 사건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스피커의 병렬연결 임피던스 계산법은 알고 계시겠지요???
모르신다면 검색신공 발휘하시거나...
책을 좀 사서 읽어보시길...

bird83님의 댓글

소리가 안나던 문제는 케이블에 있었구요 찾아서 해결 했어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한 가지 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이 있어요

출력의 문제인데요

현재 콘솔에서 음원의 출력 레벨은 0dbu에 가깝게 레벨셋팅을 하였고

앰프의 모드는 모노 브릿지 모드, 스피커는 병렬 1k옴 매칭트랜스 10개로 출력이 되고 있는데요

디자이너님의 말씀대로 스피커들의 합성저항이 100옴이 나올텐데 앰프의 입력노브를 10시 정도까지만 열어도

스피커들에서 나오는 음량이 야외 배경음악정도 들을 수 있게 나오고 있습니다.

10옴도 아니고 100옴인데 스피커 출력이 그렇저렇 나올 수 있는건가요?

말씀하신대로 소리가 안나거나 모기소리만큼 들려야 정상아닌가 싶어 여쭤보아요~

그리고 스피커의 개수를 정할때 앰프 최대 출력 와트와 스피커 출력의 합과는 어떤 관계인지.. 모르겠습니다.

임피던스 매칭에 문제 없다면 와트량은 무시하고 스피커를 더 늘려도 될까요??

부르스타님의 댓글의 댓글

앰프 전면에 노브는 출력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앰프에 인풋되어지는 신호에 대한 어테뉴에이터 입니다.

들어오는 신호를 얼마만큼으로 증폭하느냐의 문제로 출력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일단 앰프는  전압이 들어가면 출력되게 만들어진 기계 입니다.

스피커와 앰프의 매칭이 올바르지 않다면 소리는 날(?)수는 있지만 앰프와  스피커에

큰 무리(발열이 가장 크죠)  무리를 주게 되서 앰프나 스피커가  운명을 달리하실 수 있습니다.^^

일단 앰프의 인풋 센시빌리티를 정확히 알아보시고 그에 맞는 전압을 콘솔에서 앰프로 인풋시키신 후

그 신호를 적적히 증폭시켜 스피커에 보내주어야 합니다.

와트량 무시하고 스피커 늘리시면 안돼요!!! 앰프 사망의 지름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볼테이지 게인 설정도 굉장히 중요합니다.(앰프 뒤쪽에 보시면 18dB 24dB 이런 셀렉팅을 할수있는 뭔가가
보이실 겁니다.)

앰프에서 과도하게 증폭되면 시그널에 디스토션이 생기게 되고
(그것을 듣지 못하더라도 디스토션된 신호가 스피커에 계속 전달되는 것이죠.)
 
그 피해는 트위터에 계속적인 무리(발열)를 주게 되어서 트위터 사망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현시점에선 앰프와 스피커 매칭이 먼저 되어야 할듯 싶네요.

일단 소비코와 아빅스에 있는 앰프와 스피커에 대한 자료를 참조해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좋은 자료들 참 많습니다.)

bird83님의 댓글

넵 임시방편으로 당분간은 이렇게 써야 할 것 같구요 ㅜㅜ
여유가 되면 전관방송용 앰프로 매칭을 다시 해야할 것 같네요..
조언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복 받으세요~!
  • RSS
전체 1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68 명
  • 오늘 방문자 1,777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1,399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090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