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음향전공: 레코딩 스튜디오 구성도와 전문용어들 ] 서울종합예술학교 실용음악예술학부 기악 / 뮤직프로덕션

페이지 정보

본문


레코딩 스튜디오 구성도와 전문용어

레코딩 스튜디오는 크게 두개의 방으로 이루어진다

      • Live Room (studio) - Live Performance (녹음을 위해 악기를 연주하는 방, 연주실) 과

      • Control Room - Recording (녹음될 악기의소리를 점검하고 녹음 중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오류에 대비하기위해,
                                    재생소리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방)

• Tie Lines (방과 방 사이를 연결하는 선과단자를 타이라인스 라 칭한다)
      • Live Room의 연결단자는 보통 - XLR, Cannon 이라 칭하는 마이크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곳이다
      • Control Room의 연결단자는 보통 - 1/4” Jack (mono)라 부르며 기타나 신디사이저 키보드를 연결할 수 있는 곳이다

• Headphone - Foldback / Cue system 는 녹음 시 연주자나 가수가 자기가 연주하는 악기나 목소리, 음악을
                                        헤드폰으로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 DI Box - (Direct Injection) 전기악기를 연결하며 주로 언발란스 신호를 발란스 신호로 전환 하는데 쓰인다
      • Active DI Box: 소리 증폭기능이 장착된 DI Box
      • Passive DI Box: 소리 증폭기능이 없는 DI Box
      • Convert unbalance lines to balanced lines
              (DI Box를 사용하는 이유는 악기소리를 잡음없이 마이크 케이블을 통해 보내는데 사용되며 특히 장거리를 연결할때는
                꼭 사용하여 케이블이 놓여진 곳들에서 생길 수 있는 잡음들을  제거해야 깨끗한 소리를 재생 할 수 있다)

첨부한 레코딩 스튜디오 구성도를 참고 하시고 다음 시간에는 발란스 케이블이
어떻게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윤종욱교수
서울 종합 예술학교, 실용음악예술학부, 기악 / 뮤직프로덕션학과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테헤란로 505
www.sac.ac.kr
TEL: 02 3430 1308

관련자료

timlee님의 댓글

어느 분에게는 소중하고 좋은 정보가 될 수 있겠지만..
제 눈으로는 학교 홍보글 혹은 전공 수업 내용을 학생들에게 받아가라고 이곳에 올린것으로밖에 안보이네요.
특정 학교와 기관을 홍보하시는 거라면 구인구직에 올리시거나
정보에 관한 글을 올리시는 거라면 각 포럼에 올리시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이런식으로 홍보하시면 학교 위상이 추락한다는거 생각하시고 올리시길 바랍니다.
  • RSS
전체 1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00 명
  • 오늘 방문자 4,110 명
  • 어제 방문자 6,451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74,519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3 명
  • 전체 회원수 37,559 명
  • 전체 게시물 321,205 개
  • 전체 댓글수 193,420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