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5월 21일 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마이크로폰(Microphone) - 줄여서 마이크(Mic OR Mike) 다.ㅋㅋ

 

마이크로폰 이란놈은 소리를 소리신호로 바꾸는 변환기를 말한다.

ex) 전기난로 같은경우는 전기를 > 열에너지로로 바뀌는 것 또한

    에너지 변환이라고 볼수있다.

 

마이크의 3 구성

다이어프레임(진동판) - 소리가 만들어져서 매체(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물리적 진동을 받는 부분.

변환부 - 받은 진동을 소리 신호로 바꿔주는 부분.

출력부 - 소리신호를 내보내주는 부분.

 

마이크의 종류

카본,크리스탈,다이나믹,리본,컨덴서 로 나누어진다.

 

카본 마이크는 전화기에 쓰이는 마이크고 , 크리스탈 마이크는

무전기에 쓰이는데 이 두종류는 낮은 수준의 음질과 좁은 다이나믹

레인지로 인해 음향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마이크의 종류.--

 

다이나믹 마이크

>음향에서 저렴한 가격과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의 장점 때문에

가장많이 쓰이는 마이크다.

이 마이크의 특징은 폭넓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보컬에서부터 브라스, 타악기까지 거의 모든 곳에 잘 어울린다.

더욱음압이 커지고 있는 무대 위에 상황에서 보다 더 음원에 가깝게 마이킹 하거나 불필요한 음원의 흡수를 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공연의 경우에는 컨덴서보다는 다이나믹마이크를 선호한다.

 

리본마이크

 

자석의 두 자극 가운데 놓인 알루미늄 호일 같은 리본이 음압에 의해 진동을 하면 자기장과의 영향으로 리본에 전기가 발생한다.

이때 전압과 리본의 임피던스가 매우 적기 때문에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를 거쳐 일정한 레벨의 소리 신호로 출력된다.

즉, 리본 마이크는 임피던스 매칭 트랜스를 내장하고있다.

 

이 마이크는 저음역의 특성이 좋고 마이크 자체의 잡음이 다른 마이크보다 적어 보컬이나 다른 어쿠스틱 악기에 많이 사용된다.

최근들어 자연스러운 음색이 재생이라는 장점 때문에 전문 녹음실에서 많이 사용하고있다. 그러나 리본이 손상되기 쉽다는 단점을 가지고있다.

 

컨덴서 마이크/

컨덴서 마이크는 컨덴서(Condenser)란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일종의 용기를 말한다.

원리 - 일정한 거리를 둔 +극 과 -극 전원을 연결하면 그 양 극 사이에 전류가 저장되고 한쪽 극을 한 면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 극을 진동판에 연결하게 되면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양극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저장된 전압에도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이 변화가 소리 신호로 출력되는 원리이다.(그림이 없으니 이해하기 힘들려나 ㅠ)

컨덴서는 양극의 높은 임피던스를 낮추고 신호를 마이크 레벨로 키우기 위해 프리앰프를 내장한다. 그리고 9V - 48V 까지의 외부 전원이 충전을 위해 필요하다. 팬텀 파워 라고 불리는 이 전원은 마이크 라인을 통해 대부분 믹서에 공급이 된다.
 

-ㅠ- 아 주말에 피곤하다는 핑계로 너무 느슨해졌더니...
에효 하루를 쉬면.. 점점 하기 싫어지나봅니다.
다시 새로운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해야겠어요 히히..
오늘은 집에가서 더 정리해야겠어요 +-+ㅎ

관련자료

권혁준음향입문님의 댓글

ㅠ_ㅠ ㅋㅋ 보고있는책이 음향핸드북 뿐이라서요 이렇게라도 정리하면 아니 옴겨적으면..ㅎ
기억에 더 남을꺼같아서요 +_+ 저작권법 헙;;ㅠ;ㅎ
  • RSS
전체 10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265 명
  • 오늘 방문자 5,294 명
  • 어제 방문자 6,199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01,975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3 명
  • 전체 게시물 278,135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