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자유게시판

제게도 봄이 오나 봅니다. ^^;

페이지 정보

본문

어제자 중앙일보 기사입니다.

음치를 고칠 수 있다니..

대단한 발견이라 생각되지 않습니까 ?

저같은 음치라도 이젠 치료를 받으면 정상(?)적인 귀를 갖게 된다는 것인지....

암튼 매우 기대되는 치료법인것 같습니다.

아래는 기사입니다.

- 아래 -


[생활 건강] 음치 신경과학으로 고칠 수 있다
알람시계 같은 소리 계속 들려주면 손상된 청각신경 세포 되살아나

직장인 P씨(48)는 노래방 간판만 보면 겁부터 난다. 마이크를 잡으면 남들이 비웃고 박자도 못 맞춘다. 노래 연습을 해봐도 도대체 어디가 틀리는지 알 수가 없다. '음치 클리닉'을 노크해보기도 했지만 별 진전이 없었다.
.
한국은 세계가 알아주는 '노래 공화국'이다. 오죽했으면 몇 해전 독일의 시사주간지 '포쿠스'가 한국에선 음치를 탈모나 발기부전처럼 심각하게 생각한다고 보도했을까. 비즈니스나 출세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음치. 여기서 완전히 탈출할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은 없을까.
.
미국 LA 근교에 있는 이음향방사(耳音響放射)연구센터 곽상엽(35.UCLA 인지음향연구소 책임연구원)원장은 24일 신경과학적인 음치 치료 방법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
귀의 이음향방사 미세 구조가 음악에서 사용하는 평균율(平均律) 반음계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한 데 이어 가청 주파수 반응으로 음치 지수를 계산하는 측정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
우선 음높이 차이를 인식해내는 DLP 지수(청각신경세포의 주파수 해상도)를 측정해 음치 여부를 판단한다. 그후 특정 주파수의 정현파(定弦波), 즉 싸인파(sine wave)를 일정 기간 들려줘 청(聽)세포를 복구하면 굳이 노래를 부르지 않고서도 음치를 쉽게 고칠 수 있다는 것이다.
.
이 치료법은 미국 LA에서 20개월간의 임상 시험을 거쳤다. 이어 지난해 7월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음악인지학회에서 처음 공개한 후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
.
◇음치의 원인=음치는 구강 기형, 언어장애, 정신장애, 자폐증 때문에 노래 부르기를 꺼려하는 운동성 음치와 청각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감각성 음치가 있는데 대부분이 후자다.
.
달팽이관 안에는 소리의 높낮이를 구분하는 3천여개의 내유모 세포와 음량에 반응하는 1만5천여개의 외유모 세포가 있다. 이들 세포의 배열이 비정상적이거나 혈류 기능 장애로 주파수 해상도가 낮아지면 음치가 발생한다.
.
미세한 음정(반음)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은 달팽이관의 이상, '도'를 '솔'또는 한 옥타브 위의 '도'로 인식하는 것은 배음(倍音.overtones)을 듣고 기본음을 추출해 내는 대뇌 신경망 조직인 배음판(harmonic template) 기능의 상실 때문이다.
.
달팽이관의 선천적인 기형으로 인한 음치는 언어 장애나 난청까지 동반한다.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감수성이 떨어지는 기능성 난청도 있다.
.
언어 습득기인 5세 이전에 부모의 음성이 지나치게 시끄럽고 허스키한 경우나 소음에 노출된 환경에서 자랄 경우 본인도 허스키한 목소리에다 음치가 될 확률이 높다. 반대로 지나치게 조용한 환경에서 자라면 음치가 될 가능성이 훨씬 많다.
.
◇음치 치료법=청각 신경세포 단위의 비정상적 반응을 사인파의 물리적인 순음(純音.pure tone. 가령 알람 시계나 라디오 시보 같은 소리)으로 자극하는게 곽씨팀이 개발한 음치 치료의 핵심이다.
.
이를 위해 개발팀은 헤드폰형 디지틀 장비로 들려주는 다양한 순음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헤드폰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순음을 계속 듣는 치료를 받으면 주파수 공명반응과 세포 이온반응으로 청각 세포의 기능과 감수성이 최고 30㏈까지 높아진다는 주장이다.
.
신경과학의 연구성과로 개발한 청력 자동복구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잠자고있는 청각세포를 깨우면서 비정상적으로 꼬여 있는 청각신경계의 매듭을 풀어준다는 얘기다.
.
◇음치 검사법=청각신호 탐지 미세 기능 파악을 위한 검사, 환자의 목소리로 제시음을 추적하는 검사, 귀 음향방사 검사 등으로 외유모 세포의 기능 이상을 확인한다. 여기에 청신경 검사를 병행해 최종적으로 DLP 지수를 결정한다.
.
DLP 지수가 낮을수록 음감이 좋은 사람이다. 정상인은 1~2% 포인트 이내, 음치 질환자는 5~40% 포인트로 나타난다. 음치는 주파수의 5~40%가 바뀌어야 음높이 차이를 느낀다는 얘기다.
.
이장직 음악전문기자<lully@joongang.co.kr>
.
◇이음향방사(OAE.Otoacoustic Emissions)=달팽이관 안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생체 음향 에너지. 1978년 영국 생리학자 DT 켐프가 처음 발견했다. 0.5㎜ 간격으로 최대 에너지를 발생하면서 움직이는 음악적 자율진동이다. OAE 미세 구조의 스펙트럼과 대뇌의 전기적 반응을 정밀 분석해 청력 상태와 음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
2003.02.24 15:56 입력 / 2003.02.24 20:08 수정

--------------------------------------------------------------------------------


누구 저랑 이 치료 받으러 갈 사람 없으신가요 ?  ^^;

치료비가 비쌀것 같으면 계라도 하나 만들죠 ?

음치탈출계  ㅋㅋㅋ

그럼 건강들 하시고 즐거운 하루 되세요.  ^^;

회원서명

SIGNATURE

조석훈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고니님의 댓글

  예 좋은 소식이군요^^ 곽상엽씨라 하면 그옛날 CCM에서 활동하시던... 지금은 잠시 잠잠하시죠.. 이번에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연구를 위해 많은 지원을 받으신다는군요.. 좋은 결과 있길...

송가님의 댓글

  음... 그 곽상엽씨가 맞나요? 나이가 좀 틀리게 나온것 같은데... 엘에이에 계신 것은 맞는데... 여튼, 희소식은 분명합니다. 한국이 음치 free 공화국이 되겠군요.^^
  • RSS
전체 14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72 명
  • 오늘 방문자 2,104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1,72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111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